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일단신비한진돗개
일단신비한진돗개

세계남녀비율이거의1대1인이유는뭘까요?그리고왜Rh+,-는1대1이아닌거죠?

제목그대로입니다 존속 관점으로 봤을 때 1:1이 더 유리한 것 아닌가요?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겟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세계의 남녀 비율이 거의 1:1에 가까운 이유는 생물학적 진화와 유전학적 메커니즘에 기인합니다. 생물학적으로, 성 염색체의 분배는 남성의 정자가 X 또는 Y 염색체를 반반의 확률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남녀의 출생 비율이 거의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이것은 생물학적 다양성과 유전적 안정성을 보장하는 데 유리합니다.
    한편, Rh 혈액형의 비율이 1:1이 아닌 이유는 Rh 인자(Rh+)가 더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Rh+는 유전적으로 우성 특성을 가지므로, Rh-보다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유전적 특성의 차이는 인구 중에서 Rh 혈액형의 분포에 영향을 미칩니다.

    1명 평가
  • 세계 남녀 비율이 거의 1:1인 이유는 진화적 안정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자연선택 과정에서 1:1 비율이 가장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반면, Rh 혈액형의 분포는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Rh-는 유전적으로 열성이며, 특정 지역이나 인종에서 더 흔하게 나타나는 등 복잡한 유전적, 환경적 요인들이 작용합니다. 또한, Rh 혈액형은 생존이나 번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1:1 비율로 유지될 필요성이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성비는 종의 존속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1:1에 가깝게 유지되지만, Rh 혈액형은 그렇지 않아 불균형한 분포를 보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세계 남녀 비율이 거의 1대1인 이유는, 성별이란 것은 생물학적으로 유전자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성별은 X와 Y 염색체의 결합으로 결정됩니다. 이 때, 남성은 XY 염색체의 조합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은 XX 염색체의 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별 결정 방식은 모든 동물 종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Rh 혈액형은 Rh인자라는 단백질의 존재 유무에 따라 결정됩니다. Rh인자가 있는 경우 Rh+형이며, 없는 경우 Rh-형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Rh+ 형이 Rh- 형보다 약 3~4배 정도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Rh인자의 유전적 특성에 따른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우선 자손이 태어날 때 엄마의 성염색체는 XX이고, 아빠의 성염색체는 XY입니다. 엄마는 자식에게 X염색체를 줄 수 밖에 없지만 아빠의 정자는 X염색체이거나 Y염색체일 수 있는데요, 따라서 남녀의 비율은 거의 1:1인 것입니다. 반면에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에 발현되는 항원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이 되는데요, Rh 인자는 일부 사람의 적혈구 표면에 있는 단백질을 말하며 Rh- 혈액형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D항원을 가지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