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실질임금이 11% 넘게 줄었다는데, 어떤 원인 때문인가요?
매월 정부에서 발표하는 실질임금 수준을 보니까 지난 1월달에 11% 넘게 줄었다고 하더라구요.
안그래도 빡빡한 삶을 피부로 느꼈었는데 수치화된 통계자료를 보니까 더 실감이 나네요.
어떤 원인으로 실질임금이 줄어들게 됐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 하락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높은 인플레이션
- 임금인상률을 상회하는 높은 물가상승률로 인해 실제 구매력이 떨어졌습니다.
- 지난해 상반기부터 이어진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실질임금을 큰 폭으로 하락시켰습니다.
2. 경기 부진에 따른 고용시장 악화
- 경기둔화로 기업실적이 악화되면서 임금인상 여력이 줄어든 영향도 있습니다.
- 일부 업종에서는 구조조정으로 인한 고용감소도 실질임금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3. 물가 인상분 미반영
- 기업들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채 최저수준의 임금인상률을 결정한 경향이 있었습니다.
4. 비정규직 및 임시직 증가
- 정규직 대비 임금수준이 낮은 비정규직과 임시직 비중이 높아지면서 전체 실질임금이 하락한 측면도 있습니다.
정부는 2023년에도 높은 인플레이션 기조가 실질임금을 계속 억누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물가안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과 더불어 기업의 적정 임금인상도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그만큼 물가상승률이 상당히 높았기에
이에 따라서 실질임금이 줄었다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라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이 11% 넘게 감소했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인플레이션율이 빠르게 상승했다는 점과 경제위축으로 인해서 임금인상률 자체가 낮다 보니 이러한 실질임금률의 감소가 발생하게 된 것이라고 볼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은 실제로 받은 임금의 액수인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눈 값입니다.
올해 1월 실질임금이 감소한 가장 큰 이유는 전년에 1월이었던 설 명절이 금년에는 2월에 포함되어 설 상여금 등 특별급여가 감소한 영양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의 경우는 임금상승률과 물가상승률을 함꼐 고려한 요소입니다.이는 임금상승보다 시중의 물가상승률이 더 크게 작용하여 실질임금이 줄어든 효과를 보이게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월 실질임금 감소의 주요 원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월에는 설 명절이 2월로 미뤄졌기 때문에 상여금 지급이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이는 임금 총액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
1월 물가 상승률은 5.7%로 높은 수준이었습니다. 특히 식품, 에너지 가격 상승이 크게 실질임금 감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1월 임금 총액은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했지만,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 임금은 11.1% 감소했습니다.
이는 임금 성장이 물가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임금 상승률은 적고 물가상승률은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돈을 벌어도 실제로 내가 사용하고 싶은곳에 쓸돈이 줄어든 지표이기 때문에
다른 지표보다 더욱 피부에 다가오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전체 평균 임금이 감소한 것은 지난해에는 1월이었던 설 명절이 올해는 2월에 포함되면서 설 상여금 등 특별급여가 감소한 영향으로 해석됩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임금이 많이 상승하더라도 인플레이션율이 더 높게되면 실질임금 수준은 줄어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확히는 1년단위가 아니라 올해 1월 물가 수준을 반영한 체감 월급이 11% 넘게 줄며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일 등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데다 설 상여금 등이 올해는 1월이 아닌 2월에 포함된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아마 제생각에는 대신 2월달 실질임금은 올라가지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실질임금이 줄어든 것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질임금이 줄었다는 것은 결국 그 만큼 물가 상승이 가파르게 올랐음을 보여줍니다.
그렇기에 명목상의 임금에 변화가 없어도 물가가 오른 만큼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임금이 실질적으로 줄었다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실질임금이 줄어든 이유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물가 상승, 임금 상승률이 인플레이션률을 따라가지 못한 경우, 경기 침체로 인한 임금 삭감 등이 그 이유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