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위로 오를수록 기압이 낮아지는 이유는?
높은 산으로 올라갈수록 숨쉬기가
힘들어지고 귀도 먹먹해지는
현상이 생깁니다. 왜? 이렇게
높이 올라갈수록 몸에 이런 변화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진정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소 농도가 다릅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중력이 멀어지며 대기를 붙잡는 힘이 약해집니다.
그래서 올라갈수록 산소 농도가 낮아지면서 저기압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는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등 질량을 가진 기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기체는 질량이 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지표면 부근에 다량 분포하게 됩니다. 그래서 지표 근처에 기체의 밀도가 높으며 상공으로 갈수록 기체의 밀도가 낮아집니다. 즉, 고지대나 상공으로 갈수록 기체의 밀도가 낮아져(희박해) 압력이 작아지는 것이죠.
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숨쉬는 공기는 지구의 중력이 잡아주기 때문에 유지될 수 있습니다. 산에 오를수록 지구의 중심에서 멀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서 중력도 약해지게 됩니다. 산에서는 잡아주는 중력이 약해지니까 공기가 감소합니다. 높은 산에 오르면 지상보다 공기가 희박해져서 숨쉬기가 어렵게 됩니다.
산에서 공기가 감소하면 공기의 밀도가 낮은 것이고, 밀도가 낮다는 것은 공기의 압력(기압)이 낮다는 의미와 같습니다. 우리의 몸은 외부의 기압에 대응하여 압력 평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기압이 낮은 산위에 오르면 우리 몸의 압력이 외부기압보다 높게은 상태가됩니다. 귀의 고막이 압력을 받아 밖으로 밀리게 되고, 소리에 제대로 진동하지 못하게 되서 귀가 멍멍해집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지구 지형으로 부터 거리가 멀어지게 되니 중력이 약해집니다. 그렇기에 주변 공기 또한 당기는 힘이 작아지므로 양이 적어집니다. 그로 인해 압력이 낮아지게 됩니다. 기압이 낮아지면 몸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이 달라지면서 고막에 압력이 가해져 먹먹해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압은 말 그대로 공기가 누르는 무게입니다. 높은 산에 오르면 낮은 곳에 있는 것보다 몸의 위에 있는 공기기둥이 작아집니다.
그리고 높은 고도를 올라갈 수록 공기의 분포가 희박해져서 숨쉬기가 힘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역시 지구 중력의 영향을 받기때문에 지표면부근에 많은 공기분자및원자들이 쌓여있고 위쪽으로는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때문에 고도가높아질 수록 기압이 낮아지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지구 중심부에서 거리가 멀수록 중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집니다.
사람이 중력이 느낄 정도는 아니지만 공기라면 충분히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산지대의 높이가 높을수록 산소가 부족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산위로 올라갈수록 공기가 누르는 힘이 약해져서 그렇답니다. 지표면에 가까울수록 공기가 많아져서 더 많은 공기가 누르겠죠? 그래서 대기압이 지표면이 더 높은 거랍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압은 공기의 압력입니다
아래로 갈수록 공기층이 두꺼워져 높은 기압이 형성되고
반대로 산아래는 기압이 낮은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