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관세로 인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 인가요?
자동차 관세로 인해, 우리 나라 수출 산업이나 근무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 인가요? 해외에서 철수하거나, 인원감축으로 이어지는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에 대한 자동차 수출액이 상당한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자동차산업은 가격상승력 약화, 수출액 감소 등에 따른 악영향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미국 내 관세정책이 지속된다면 미국내의 공급은 미국의 공장에서, 다른 국가로의 수출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해외공장에서 진행하는 등의 공급망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3월 26일 발표한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정책은 우리나라 수출 산업과 근무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은 자동차 수출에서 미국 시장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데, 2024년 기준 대미 수출액이 전체 자동차 수출(약 708억 달러)의 48%인 342억 달러를 차지합니다. 관세가 적용되면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의 가격이 상승해 경쟁력이 약화되며, 수출 물량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산업연구원은 관세 25% 부과 시 대미 자동차 수출이 약 20% 감소할 수 있다고 추정했으며, 이는 연간 70만 대의 판매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이로 인해 국내 근무자들에게도 영향이 불가피합니다. 현대차와 기아 등 주요 업체는 이미 미국 내 생산을 확대(31조 원 투자 계획)하고 있지만, 한국 공장 생산 비중이 여전히 높아(2024년 미국 판매의 60%가 국내 생산) 수출 감소는 울산, 아산 등 공장의 가동률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약 2만~3만 명의 직접 고용과 수십만 명의 간접 고용(부품업체 포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일부 중소 부품업체는 해외 철수나 인원 감축을 고려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자동차 관세 부과는 한국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gdp가 0.12%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며, 자동차 산업이 한국 제조업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어 그 영향은 더욱 클 것입니다. 특히 전체 자동차 수출의 절반 가량이 미국으로 향하고 있어, 관세 부과 시 생산과 수출, 고용 전반에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자동차 산업 종사자들의 일자리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소중견 부품 업체들은 존폐의 위기에 직면할 수 있으며, '한국판 러스트벨트가 형성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과거 군산의 gm 공장 폐쇄 사례처럼 지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으며, 자동차 산업과 연관된 다양한 후방 산업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