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역류성 식도염 몇 달 지속되면 바렛식도로 가나요?
위염과 역류성 식도염을 6개월 째 앓고 있는데 역류성 식도염이 계속되면 바렛식도로 변해서 암 확률이 높아진다고 들어서ㅠ 일단 5개월쯤 전에 받은 위내시경에선 그냥 약간의 위염판정만 받긴 했는데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정해진 기간은 없습니다.
바렛 식도는 위와 연결되는 식도 끝부분의 점막이 지속적인 위산의 역류로 오랜 시간 동안 위산에 노출되어 식도 조직이 위 조직으로 변성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식도와 위는 구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그 구성 세포는 다릅니다. 식도 점막은 편평상피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위 점막은 원주상피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식도의 정상 편평상피세포가 위의 원주상피세포로 변성됩니다. 이 변화는 즉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식도암 발생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렛 식도는 1950년에 바렛(Barrett)이라는 사람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주로 서양인에게 나타나며 동양인에게는 드물게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바렛 식도의 주된 원인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벽의 점막이 오랫동안 위산의 자극을 받아 세포가 변성되는 것입니다. 위산이 역류하는 원인으로는 하부 식도 괄약근의 약화, 임신, 비만, 식도 열공 탈장, 지속적인 구토 등이 있습니다. 보통 식사 후, 유문이 협착된 경우나 위 내용물이 소화되지 못하고 머물러 있는 경우, 위액이 과다하게 분비된 경우에 역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후에 눕거나 구부린 자세를 취하는 것도 역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만, 임신, 복수 등으로 위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나 복대 착용, 잦은 기침 등으로 복압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역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기름진 음식, 음주, 흡연, 커피, 초콜릿, 박하, 오렌지주스 등의 음식을 섭취하는 습관도 역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바렛 식도는 그 자체로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위산이 역류하면 식도 세포가 위산에 노출되어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상복부 오목한 부분의 반복적인 통증과 흉부 작열감, 명치끝에서 목구멍 쪽으로 화끈거리고 쓰린 듯한 증상, 음식을 먹으면 목에 덩어리가 걸린 듯한 이물감과 연하 곤란, 소화된 음식물이나 신물이나 쓴 물이 입으로 넘어오는 위산 역류 증상, 마른 기침이 계속되는 증상, 자주 쉬는 목 등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식사 후나 누워 있는 동안에 더욱 심해집니다. 바렛 식도가 진행되면 구토, 피를 토하는 경우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몸무게 감소와 식욕 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식도암의 경우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많은 형태는 편평세포함이며 거의 대부분입니다
환자분이 말씀하시는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한 암의 형태는 선암입니다
따라서 암에 대한 걱정은 크게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반면 역류성 식도염이 심해지면 통증 출혈 천공 파열등의 더 급박하고 일부 중증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니 주의깊게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우리나라는 바렛식도가 거의 없습니다. 그리고 수개월 정도의 시간에 바렛 식도로 진행하는 것도 아닙니다. 마음 편히 가지시고, 식사 조절과 약물 치료를 잘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