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4.12

현재 한국 금리를 미국과 큰 차이로 유지하는 이유는 뭔가요?

현재 한국의 기준 금리는 3.5%, 미국은 5.5%입니다. 언뜻 봤을 때 세계적으로 기준 통화가 되는 달러에 비해서 금리가 2%p나 낮은 것이 잘 이해가 안되는데, 이렇게 유지하는 이유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경제사정과는 다르게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서 그렇습니다.

    가계부채가 많아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면 물가 안정 효과보다는 오히려 경기 침체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외환이 유출되더라도 여전히 3.5%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고정금리 비중이 높아서 꾸준히 기준금리를 인상하더라도 경제에 큰 부담이 없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개인이나 기업들의 부채중 92%이상이 변동금리로 이루어져있다 보니 금리가 인상되면서 이자비용 부담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로 인한 부채들의 연체 및 회수불능 리스크가 증가하게 되다 보니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 간의 기준금리 차이를 유지하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인플레이션 압력 차이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한국보다 높아 미국이 보다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해야 했습니다. 한국은 상대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낮아 완만한 금리인상으로도 대응이 가능했습니다.

    2. 경기 둔화 우려

    한국은 수출과 내수 부진으로 경기 둔화 리스크가 있어 금리인상 폭을 제한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미국은 상대적으로 경기가 견조해 금리인상에 적극적일 수 있었습니다.

    3. 환율 안정 차원

    금리를 미국보다 낮게 유지하면 원화 강세를 억제하고 수출 경쟁력을 일정 부분 확보할 수 있습니다.

    4. 외국인 자본 유출 방지

    금리를 지나치게 인상하면 외국인 투자자금이 이탈할 수 있어 한국은 일정 금리 차이를 둘 필요가 있었습니다.

    5. 가계부채 부담 고려

    지나친 금리인상은 가계부채 부담을 가중시켜 한국은 점진적인 금리인상 행보를 보였습니다.

    이처럼 한국은 경기, 물가, 환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미국보다 낮은 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인플레이션 흐름과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 차이는 변동될 수 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처럼 고금리를 유지하고 싶지만 현재 한국경제 여건상 금리를 올릴 수 없는 상황입니다.

    • 금리를 지금보다 더욱 올리게 될 경우 한국 경제에 큰 부담이 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경우에 미국의 기준금리가 우리나라보다 낫습니다. 왜냐하면 똑같이 국채를 발행한다고 하더라도 미국의 신용도가 우리나라보다 훨씬 좋기 때문에 우리나라 금리가 더 높은 게 정상입니다. 그런데 그것만 고려하기에는 우리나라 경제 체력이 좋지 않습니다.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더 높은 6.5% 정도 금리를 설정한다면 우리나라 많은 기업들과 가게들이 무너집니다. 그렇게 만들 수는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 금리를 더 낮게 유지하고 대신 환율이 많이 높아진 상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준금리는 각 나라별 경제성징률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해서 중앙은행에서 결정하져 굳이 미국 기준금리 수준 따라갈 필요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금리인상하는 수준만큼 한국이 따라가기에는 경기침체 및 가계부채이자증가 등 한국적 경제상황이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단 표면적으로 우리는 그만큼 안올려도 CPI가 많이 내려왔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가계부채가 높은 상태가 금리를 더 올리게 되면 시민들이 대출이자 갚기 힘들다고 난리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미국의 금리인상을 따라가지 못한 것입니다.

    위 미국만큼 금리를 올린다면 실물경제와 더불어서 부동산 등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어서

    그만큼 못올린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한국 금리가 미국 금리와 큰 차이로 유지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한국은 이미 최대치로 금리를 올린 것으로 보여집니다.

    이는 미국의 경제 체질과 한국의 경제 체질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미국만큼 자유롭게 금리 인상을 하지 못하고 어느 정도 차이를 두고 유지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기준 금리가 미국의 기준 금리보다 낮은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한국은 미국보다 경제적으로 더 안정되어 있어서 더 낮은 금리 수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한국은 미국에 비해 인플레이션과 경기 변동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더 낮은 금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