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TDF는 IRP계좌 안전자산 비중용으로만 매수하는 게 나을까요?

IRP계좌에서는 안전자산 비중을 무조건 30% 채워야 해서 TDF 상품으로 채우더군요. 수수료가 높던데 TDF는 IRP계좌 안전자산 비중용으로만 매수하는 게 나을까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TDF는 IRP에서 ‘안전자산 비중 확보용’으로 활용할 수 있지만, 수수료가 높은 편입니다.
    단기 운용보다는 장기 자동 분산효과가 목적이므로, 30% 채움용으로만 쓰는 건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보다 저비용의 채권형 펀드나 MMF로 대체하는 방법도 검토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TDF는 IRP 계좌 안전자산 비중 용으로만 매수하시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반드시 TDF를 매수해야 하는 것이라면

    IRP 계좌 안전자산 비중 정도로만 매수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TDF 만기시점이 가까울 수록 안전자산으로 분류가 됩니다.

    IRP의 안전자산으로 TDF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만기시점이 안전자산의 요건이 되는지 우선 파악이 중요합니다.

    채권 ETF나 주식 ETF로 30% 안전자산 조합을 하는 것도 많이 사용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TDF는 IRP의 안전자산 30% 비중을 채우면서도 사실상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 비중을 높여 전체 수익률을 공격적으로 가져갈 수 있게 하는 매우 효율적인 수단입니다.

    TDF 자체가 장기 연금 투자 목적에 맞춰 자산 배분을 알아서 해주기 때문에 투자자가 신경 쓸 일이 줄어드는 큰 장점도 있죠.

    다만, 일반 인덱스 펀드보다 수수료가 높은 편이라는 단점은 있어요.

    따라서 수수료 부담이 걱정된다면 운용보수가 낮은 패시브형 TDF나 TDF를 활용하는 ETF를 안전자산 30%에 활용하고, 나머지 위험자산은 저렴한 ETF 등으로 채워 총비용을 낮추는 전략을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TDF 외에 원리금 보장형 상품 (예금, 적금, 발행어음 등)이나 안정적인 채권 ETF를 안전자산 비중으로 채우는 방법도 있습니다. 본인의 투자 성향과 투자에 할애할 수 있는 시간, 수수료 민감도를 고려해서 결정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