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마리마리김말이
마리마리김말이

앞으로 금리는 더 떨어질까요? 어떻게 될까요?

앞으로 금리는 더 떨어질거라고 들었는데 언제쯤 떨어질까요 떨어진다면 어느정도 까지 떨어질것 같은지 궁굼합니다~ 떨어지면 대출 금리도 떨어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는 앞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크긴하지만 초저금리는 점진적으로 낮아져서 올듯하구요. 대출 금리도 함께 하락할 거예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앞으로의 금리가 더 인하 될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현재로선 기준금리 기조가 변경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 속도가 우리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향후 기준금리 인하는 전세계적인 추세라 우리나라에서도 역시 인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가격 안정화가 되지 않고있어서 그폭은 적을 것 같습니다. 올해 연말까진 0.25% 정도 추가인하될 것 같고 내년 상반기에도 0.5%내외는 인하되어 지금보다는 0.75%인하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15년 정도를 추이를 보면은 코로나만 아니었으면 2% 이하로는 내려가지 않았습니다 2%에서 5% 사이로 왔다 갔다 하지요 이것은 미국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경제의 큰 위기만 없다면 코로나 때처럼 떨어지지는 않을 거 같습니다 느끼는 하지만 기준 금리가 떨어지면 대출 금리도 조금씩 낮아지고 하겠지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을 포함하여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도

    현재 물가가 잡히고 경제를 살리기 위하여는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아보이나

    얼마나 떨어지게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향후 금리의 경우는 현재 금리수준이 높고 경기침체 우려와 내수경제 회복을 위해 금리인하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 금리인하 속도와 수준의 경우는 물가상승률과 부동산가격 상승 등에 따라 최종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미국 금리는 2024년 하반기부터 점진적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현재 7%에 가까운 모기지 금리는 내년 말까지 약 6%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연준이 경제 성장 둔화와 인플레이션 억제를 고려해 금리를 조정할 것이라는 전망에 기반합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대출 금리도 함께 낮아질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가 경제 상황에 따라 다르게 진행될 수 있으니 상황을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의 기준금리는 경제 영향도 있겠지만 미국의 금리 영향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미국은 연내 0.25%씩 2번 금리 인하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이 0.5% 인하할 때 한국은 0.25% 인하하며 추가 인하의 여지를 남겼기 때문에 금리인하는 계속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0월에 기준금리 25비피를 인하했습니다 대출금리 왜 안떨어지냐는 질문이 많지만 대출금리에 기준이 되는 시장금리가 이미 기준금리 2회 인하를 반영하여 거래되고 있었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떨어지진 않았습니다

    국내 경제 전문가들 예상은 내년 1분기에 25비피 인하 후 내년 3분기에 추가인하를 예상하는게 가장 많습니다

    그래서 내년 최종 기준금리는 2.75% 를 예상하죠 저는 대출금리는 내년 1분기에 인하를 하면 저는 그때 정도는 대출금리가 떨어질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앞으로 기준금리는 꾸준히 인하될 전망입니다

    • 하지만 시장의 대출금리는 인하하다가도 다시 치솟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 그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는 가계대출을 잡아야 하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의 압박으로

      대출금리를 올려서라도 가계대출을 잡고 있는 상황입니다

    • 매년 가계대출을 하는 총량을 올해까지 잡아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을 대출금리

      인상으로 진행하는 모습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한국은행에서는 대출 관리가 있었기에 금번 금리 인하도 가능했다고 하죠. 이말인즉슨 금리만으로 결정하기에는 실물 경제가 아직 좋지는 않다는 것을 말합니다.

    연내로 한번더 금리 인하 예고를 했지만 자세한건 그때 되어봐야 할 것 같습니다.

    다만 엊그제 유럽 중앙은행에서도 두차례 연속 금리 인하를 한 것을 보면 전세계적 분위기는 금리 인하인 것은 확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