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정중한토끼172
정중한토끼17223.10.31

얼음이 왜 물위에 뜨는지 알수있을까요?

얼음이 물위에 떠서 둥둥 다니는데 고체가 더 무거울꺼같은데 물보다 위로떠서 다니는것이너무 신가한데 이러한 이유가 먼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 위에 떠다니는 이유는 물과 얼음의 밀도 차이 때문입니다. 얼음은 물보다 밀도가 작기 때문에 물 위에 떠서 다닐 수 있습니다. 얼음은 물 분자들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된 고체 구조입니다. 이 구조는 물 분자들이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물 분자들의 평균 거리가 물보다 크게 됩니다. 이로 인해 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작아지게 되는 것이죠.

    얼음이 물 위에 떠다니는 현상은 아치메데스의 원리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아치메데스의 원리는 밀도가 작은 물체가 밀도가 큰 물체 위에 떠서 뜨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는 물 위에 떠다니는 얼음에도 적용됩니다. 얼음은 물과 비교했을 때 밀도가 작기 때문에 물 위로 떠오르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얼음이 물 위에 떠다니는 현상은 생명체들에게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얼음이 물 위에 떠다니면서 얼음 아래에 있는 물은 보존되고, 얼음 위에 있는 물은 얼음과 물 사이의 온도 균형을 유지하게 됩니다. 이러한 온도 균형은 수중 생물들이 겨울철에도 살아남을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얼음이 물 위에 떠다니는 이유는 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작기 때문이며, 이는 아치메데스의 원리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생명체들에게도 중요한 온도 균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얼음이 물 위에 뜨는 이유는 얼음이 액체 상태의 물보다 부피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얼음은 액체 상태의 물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물 위에 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분자 구조가 바뀌기 때문에 부피는 늘어나지만 무게는 일정해서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밀도는 줄어듭니다. 따라서 물보다 밀도가 작은 얼음이 물 위에 뜨게 되는 것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할 때 밀도는 약 10% 정도 줄어들게 되므로 전체 얼음의 10% 정도가 물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