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궁금한건데 자동차가 갑자기 출발하면 왜 몸이 뒤로 쏠릴까요?
급궁금해서 문의드려요. 자동차가 갑자기 출발하면 왜 몸이 뒤로 쏠리는지가 궁금합니다.
혹시 아시는 전문가님 계시면 답변부탁드립니다.
물어보신 내용은 뉴턴의 운동법칙 중 제1법칙인 관성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물체에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물체는 처음의 운동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는데 이것을 관성이라고 합니다. 정지해 있는 물체는 계속 정지해 있으려 하고, 운동하던 물체는 운동하던 방향과 속력을 유지하므로 등속직선운동하게 됩니다. 버스에 탔을 때 갑자기 출발하면 몸은 정지해 있는데 발은 차와 함께 앞으로 운동하므로 상대적으로 뒤로 밀리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넘어지지 않기 위해 중심을 잡아야 하므로 발을 몸이 움직이는 방향인 뒤쪽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반대로 차가 멈출 때에는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몸은 자동차와 함께 움직이던 속도를 유지하려고 하지만 발이 차와 함께 멈추는 바람에 몸이 앞으로 나가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는 움직이는것은 계속 움딕이려하고 멈춰 있는것은 계속 멈춰 있으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멈췄다나 줄발할때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것이 출발 방향과 다르게 움직이기 때문인데 이것이 관성의 법칙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관성때문입니다.
관성은 정지관성과 이동관성으로 나뉘는데, 가만히 있던 물체가 갑자기 힘을받아 움직이거나, 등속운동하던 물체가 갑자기 멈추는 힘을 받게 되면그 상태를 유지하려는것을 말합니다.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가다가 차가 급하게 출발하면 나도 모르게 몸이 뒤로 제켜지고 반대로 차가 급정지하면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은 차에 탄 탑승자가 상대적으로 관성 운동하기 때문입니다. 관성이란 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정지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고, 운동하는 물체는 운동 상태를 계속 지속하려고 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차가 정지하고 있다가 갑자기 출발하면 차내의 탑승자는 정지 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므로 상대적으로 몸이 뒤로 이동하고, 차가 주행하다가 급정지하게 되면 차내의 탑승자는 주행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몸이 앞으로 쏠리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자동차가 갑자기 출발하면 몸이 뒤로 쏠리는 이유는 관성의 법칙 때문입니다. 관성의 법칙은 물체는 그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법칙입니다. 자동차가 정지해 있을 때는 자동차와 탑승자의 속도가 같습니다. 자동차가 갑자기 출발하면 자동차는 속도가 빨라지지만, 탑승자는 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따라서, 탑승자는 자동차의 속도 변화에 따라 뒤로 쏠리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