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소탈한하늘소43
소탈한하늘소4323.05.10

개화기시대에 위정척사파란 무엇인가요?

개화기시대에 보면 위정척사파가 있는것 같더라구요, 근데 개화기시대에 위정척사파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위정척사파의 대표인물은 누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0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 문화를 지키고 서양 문물을 배척하자고 주장하는 사람들.
    함부로 외국과 교류하면 우리 문화를 망치고, 경제적 손해도 볼 수 있으니 통상 수교를 거부하자고 주장하는 사람들을 위정척사파라 한다.

    위정척사란 옳은 것은 갖고 나쁜 것은 버린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들은 중국과 우리의 전통문화는 옳고, 서양과 일본의 새로운 체제는 나쁜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최익현이 강화도 조약에 반대하며 올린 상소문에 잘 나타나 있다.

    이양선이 나타나 교역을 요구하고 서양 세력들의 침입이 거세지자 양반 유생층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전통 질서를 지키고 외세의 침략을 물리쳐야 한다는 위정척사 운동이 일어났다. 위정척사파는 흥선 대원군의 통상 수교 거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찬성했다. 당연히 강화도 조약이 체결될 무렵에는 개항 반대 운동을 벌여나갔다. 위정척사파에 속하는 영남 지역의 선비들은 나라에서 개화 정책을 추진하자 상소를 빗발치듯 올려 이에 반대하였다.

    그렇다고 위정척사파가 나라에 부정적인 영향만 끼친 것은 아니다. 위정척사파의 곧고 강한 생각은 후일 항일 의병 운동으로 계승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위정척사파 (한국사 개념사전, 2015. 02. 24., 최인수, 공미라, 김수옥, 김애경, 김지수, 노정희)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위정척사파는 위정척사를 앞세워 조선 후기에서 대한제국시기까지 활동하던 정치운동으로 바른 것을 지키고 그릇된 것을 물리친다는 의미인 위정척사는 성리학의 주요 강령 가운데 하나로 송나라 주희의 화이론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 조선에서 위정척사가 정치적 운동으로 나타난 시기는 정조 무렵으로 남인의 공서파와 신서파 갈등 과정에서 공서파가 천주교를 대표로 하는 서학을 받아들인 신서파 등 천주교도들을 공격하기 위한 빌미로 삼았습니다.

    즉 개국 후 개화를 반대하고 전통적인 것을 지키며 그것을 민족 주체 의식으로 여긴 사람들로 대개 유교 사상에 젖은 이항로, 기정진, 최익현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