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금리가 인하하면 위험자산들이 오르는 경향이 보인다고 하는데요
보통 금리가 인하하면 위험자산들이 오르는 경향이 보인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인하를 시작하면 되려 더욱 하락하는 경향이 많이 보인다고 하던데 이것들이 왜 그러는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가 인하하게 되면 위험 자산들이 오르는 경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리가 인하된다는 것은 시중에 돈이 풀리는 것을 의미하고
그렇게 풀린 돈이 위험 자산인 주식 등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금리 인하 기대감'이 선반영되어서 주식, 부동산 시장이 이미 금리 인하 이전 많이 오른 경우, 실제로 금리 인하가 이루어지게 되면 이는 곧 기정사실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인하 시작 후 더 떨어지는 경향도 나타나는 것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가 금리인하를 하는 것은 경기둔화에 조짐이 보일때인데 한번 경기둔화가 시작되면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경기침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금리인하에도 불과하고 주식시장은 급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는 보통 경기 부양을 위해 이루어지며, 이는 위험자산의 가격 상승을 기대하게 합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경제 상황이 악화되었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경기 침체 우려로 위험자산을 회피하여 되려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즉, 금리 인하는 단기적으로 경제 불안정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위험자산이 하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인하함에 따라 위험자산이 하락하는 이유는,
1. 기대와 현실의 갭 때문일 수 있습니다. 즉 실제 금리가 인하하면 경기가 다시 회복될 것을 믿었으나 현실적으로 기대와 상반되게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2.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면 금리가 인하되도 위험자산을 매도하고 안전자산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3. 금리인하를 통해 시중의 유동성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했지만 경기가 회복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투자와 소비를 오히려 감소하고 위험자산의 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를 인하한다는 것은 침체 징후가 보였음을 의미합니다.
침체 징후에 대한 대응으로 기준금리를 내리게 되는데, 침체 징후가 발생하면 사람들이 소비 및 투자 등을 함께 줄이면서 위험자산들 가격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가 된다면 더 높은 수익율을 추구하기 위하여 자금들이 주식이나 코인 시장 등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위험자산들의 가격이 오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유동성이 공급되며 자산시장에 자본이 몰리며 가격이 상승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만 금리를 인하하는 시점이 경제가 어려운 위기상황에서 인하를 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금리 인하기에 경제가 같이 침체되는 것을 보고 금리가 인하하면 경제가 어려워진다는데 이는
잘못된 인과관계가 반대로 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로 인해 위험자산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주로 투자자들이 더 많은 수익을 찾기 위해 위험자산으로 자금을 이동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시장의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예상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경제 전망이 악화되거나 정책 변화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시장이 예상과 다르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가 경기 침체 우려를 부각시키는 신호로 해석되어 위험자산이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 인하와 위험자산의 관계는 다채롭고 복잡한 요소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인하되면 위험자산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들 때문입니다: 첫째, 낮은 금리는 기업들의 차입 비용을 저렴하게 하여 수익성을 개선시키는 요소로 작용합니다. 둘째, 안전자산의 수익률이 낮아지면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 위험자산으로의 이동을 촉구받을 수 있습니다. 셋째, 금리 인하는 경제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정책으로 인식되어 투자 심리를 개선시키기도 합니다.
그러나 금리 인하가 실제로 이루어지면 위험자산의 가격이 오히려 하락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장이 이미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가격에 반영했을 경우, 실제 인하 발표 이후에는 시장에서 "뉴스에 팔아라(Sell on news)"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가 경제의 침체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도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금리 인하의 정책 효과가 효과적이지 않다는 의문이 제기될 경우 시장이 부정적으로 반응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금리 인하 이후의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질 수 있으며, 금리 인하로 인한 환율 변동이 일부 기업이나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위험자산이 오르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로 금리 인하 시작 시 주식이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금리 인하가 경제가 약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입니다. 즉, 투자자들은 경제가 나빠질 것으로 예상해 주식을 팔아버리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사실 기준금리가 인하될 것이라고 하면 그 기대감으로 위험자산의 가격이 오르다가, 실제로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이미 선반영된 가격 상승으로 오히려 조금 가격이 떨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