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김치가 상하지 않고 발효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김치가 상하지 않는 이유가 있나요? 다른 음식과는 다르게 썩지 않도 발효되어 더 맛있게 되는 이유가 배추때문인가요? 아니면 썩는걸 발효된다라고 표현하는건가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밝은치와와78입니다.
김치와 같은 발효가 가능한 식품은 내부에 있는 미생물인 젖산균에 의해서 발효가 됩니다.
김치의 배추나 여러 야채에는 당류가 함유되어 있는데,
이 당류가 젖산균에 의해 젖산과 유기산으로 변하면서 독특한 맛을 생성하는 것이 바로 발효입니다. 이상입니다.
안녕하세요. 반바지입니다.
배추를 소금에 절이면 유해미생물을 죽이면서 몸에 좋은 유산균들만이 살아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줌
2) 김치에 재료나 양념(고추가루, 마늘, 젖갈 등)에서 나오는 여러가지 유산균이 살아나면서 단맛이 조합되어
만들어 짐. 김치에는 30가지가 넘은 유산균이 생성되는데 대표적으로
- 류코노스톡: 탄산가스를 생성해 신맛을 감소, 감칠 맛을 증가, 변비예방에 좋은 식이섬유 덱스트란을
생성시키는 역할
- 바이셀라: 김치발효 중 청량감과 풍미를 내는 미생물로 지방세포 생성을 막아 항비만 효과가 있음
- 락토바실러스: 당류를 발효시켜 에너지로 유산을 생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