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굴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문제를 먼저 푸는 순서대로 노드에 장부를 기록한다고 하는데 그러면 문제를 풀지 않으면 노드에 장부 기록은 안되는건가요?
문제를 푸는것을 채굴한다고 표현하는데 다시말해서 채굴을 하지 않으면 노드 장부 기록은 멈추는것인가요? 만약 더이상의 채굴(=문제풀이)가 없다면 화폐 거래는 불가한것인가요?
2) 채굴이 되어야 블록체인(거래내역형성)이 유효화된다고 하는데, 채굴의 속도가 블록체인(거래 내역)생성되는 속도에 미치지 못한다면 거래내역은 확인이 안되는건가요? 예를 들어 철수가 영희에게 100불을 보냈는데 이거에 대한 거래내역을 노드가 기록을 하기위해서는 결국 해쉬문제를 풀어야 기록이 유효화되는것인데 채굴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시간이 걸리고 고갈되어 가는데 거래내역은 많으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1. 채굴-즉 문제를 푸는 행위-는 트랜잭션들을 검증해주는 행위 입니다. 따라서 채굴에 참여하지 않는 노드들은 블록 생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다른 노드들이 채굴한 블록을 전파하는 역할을 합니다.
2. 설사 트랜잭션이 없다 하더라도 채굴자들은 블록을 채굴 할 수 있습니다. 즉 문제 풀이가 없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3. 문제의 난이도, 즉 채굴 난이도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설계 되어 있습니다. 갑자기 채굴자들이 많이 참여해서 채굴이 빨리되면 난이도가 증가되고, 갑작스럽게 채굴자들이 많이 빠져서 채굴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리면 난이도를 줄입니다. 따라서 문제가 계속해서 어려워지는 것은 아니고, 어려워졌다, 쉬워졌다 하는 것 입니다.
1) 문제를 먼저 푸는 순서대로 노드에 장부를 기록한다고 하는데 그러면 문제를 풀지 않으면 노드에 장부 기록은 안되는건가요?
->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해쉬 값을 찾아야합니다. 해쉬 값을 찾지 못한다면 블록이 생성이 되지 않기 때문에 블록체인은 동작되지 않습니다.
2) 채굴이 되어야 블록체인(거래내역형성)이 유효화된다고 하는데, 채굴의 속도가 블록체인(거래 내역)생성되는 속도에 미치지 못한다면 거래내역은 확인이 안되는건가요?
-> 블록에 저장되는 속도보다 더 많은 트렌젝션이 발생한다면 수수료가 높은 데이터먼저 기록이 됩니다.
그렇다보니 수수료가 낮은 데이터일수록 밀리고 밀리다 보면 전송에 실패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