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우리말에는 아침인사, 점심인사, 저녁인사가 따로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영어나 독일어에는 아침인사, 점심인사, 저녁인사가 따로 있어서 때에 맞춰 인사하고, 일본어에도 아침인사, 점심인사, 저녁인사가 따로 있는데요. 우리말에는 아침인사, 점심인사, 저녁인사가 따로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농경 사회였기 때문에 일출과 일몰에 따라 생활 패턴이 정해져 있었습니다. 따라서 아침에 일어나 일을 시작하고, 점심시간에 잠시 쉬고, 저녁에 일을 마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이러한 생활 방식 속에서 아침, 점심, 저녁 인사를 구분할 필요성이 크지 않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침, 점심, 저녁별로 인사말이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한국어에서는 이러한 구분이 엄격하지 않아 점차 사라졌습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따로 있습니다.
아침점심저녁은 물론 각종 경조사나 상대방 신분에 따라서
각각 다른 인삿법이 있었는데
일제와 6.25를 거치면서 사라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