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생활꿀팁

영특한후루티122
영특한후루티122

정보를 한데 모아놓아 저장해두면 위험할것같아 계정을 여러개 파두는데요

이게 실제로 효과가 있는 방법이 맞나요?

계정 이름도 aksjdlfkwjlkf@gmail.com 식으로 아무거나 갈겨놓고 텍스트파일에 적어두곡 필요할때마다 복붙합니다

비밀번호도 비슷하게 해요

그리고 게임에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데이터를 남겨두거나

드라이브를 이용한다던가 하면서 데이터가 남을때

이렇게 계정을 여러개 나눠두면 안전할것같아서 해놨는데

괜찮은 방법이 맞나요?

아님 그냥 헛고생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차분한기러기89
    차분한기러기89

    정보를 분산시켜 관리하는 것과 계정을 여러개 사용하는게 어떤 관계가 있는가요?

    예를 들어 메일 서비스의 경우, 중요한 메일을 받을 계정과 일상적인 메일을 받을 계정을

    나누어서 관리하신다면 이해가 되겠는데 지금 남겨주신 질문은 잘 이해가 되지 않네요.

    아이디와 비밀번호 관리에 대해서는 아이디는 기억하기 좋은 것으로 하시는게 좋습니다.

    비밀번호는 3개월, 6개월 정도마다 한번씩 바꿔주시는게 좋습니다.

    요즘 웬만한 곳들은 가입할 때 비밀번호를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섞어서 생성하라고 하지만

    이 비밀번호 생성 정규식을 제안한 '빌 버'는 자신의 제안을 철회했습니다.

    보안에 그닥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지요.

    웹상에서나 모바일 환경에서 비밀번호를 생성한 후에 갤럭시의 경우 삼성패스,

    아이폰의 경우 애플 키체인 비밀번호 자동입력 방식을 사용하시는 것도

    보안을 유지하는데에 좋은 방법입니다.

  • 적어도 동일계정 동일 패스워드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것이나.

    1계정에 모든 정보를 모아두는것보다는 분산 저장하는것이 상대적으로 안전한것은 맞습니다.

    다만 어차피 사용하시는 디바이스가 1개인 경우 해당 디바이스가 해킹당하는 경우 기존 사용계정이 여러개여도 모두 한번에 털리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생각보다 큰 보안장치는 아니라고 생각하셔야합니다.

    계정을 여러개 사용하시는것도 좋지만.

    OTP 등 2단계 인증등을 도입하여 사용하시는게 더 안전하고 편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먼자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컴퓨터상에 남겨두는것은 안전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컴퓨터는 언제든지 해킹의 위험이 있기때문에 보안이 뚫리는 순간 바로 계정이 노출되어버립니다.

    그래도 같은방법으로 보관이 필요하시다면 외장허드나 usb메모리를 이용하여 필요할때만 잠깐 연결해서 사용하도록 하는편이 컴퓨터에 계속 두는것 보단 나을듯싶습니다.

    아무튼 비밀번호를 외우시는게 가장 좋지만 그렇지 못할경우 공책이나 메모지에 직접 적어 두시는편이 가장 좋은방법이라 생각됩니다.

  • 보안은 '일반적으로' 복잡하고 귀찮을수록 강해집니다.

    용도별로 계정과 비밀번호를 분리하고 활용하시는 점은 현업에서도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해당 비밀번호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경우 해당 방안에서 얻을 수 있는 보안성 대부분을 포기하시게 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보안을 수행하실 경우, 펜과 종이 등을 이용한 물리적 비밀번호 메모 등이 더 유효할 것으로 보이며, 질문자님과 같은 랜덤한 비밀번호 통합 관리 툴로는https://1password.com/ko/ 등이 있으니 참고하시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요약

    긍정 : 이용하시는 서비스가 해킹당한 경우에 대한 보안성은 강화됩니다.

    부정 : 사용중인 PC가 해킹당한 경우에는 더 심각한 피해를 입습니다

    대안1 : 보안 레벨을 유지하시려면 메모를 활용하시거나, 긍정과 부정을 조합한 https://1password.com/ko/ 등의 통합 비밀번호 관리 툴을 고려하십시오

    대안2 (추천) : 기존 방법들을 유지하시되, 일반적인 암기가 가능한 수준에서 분할하세요.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메모로 보관하는 것도 좋으나 최소한의 암호화나 백신을 유지하세요

    보안엔 끝이 없습니다. 귀찮은 만큼 강해지고, 대신 어느 보안에나 약점은 존재하니 잘 조합해서 사용하시면 될 듯 합니다.

  • 분산데이터저장 방식이라고 볼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ㅎ

    한 서버 또는 싸이트(?) 에서 여러 계정이라고 해도 해당 서버(싸이트, 도메인 등)가 털리면 의미는 없겠지요...

    예를 들어 네이버 클라우드, 구글 클라우드 등 완전 다른 도메인을 나눠서 저장을 한다면 괜찮은 분산 방식이 될 거구요...

    완전 다른 도메인 & 계정, 비밀번호 관리가 잘 된다면 나쁘지 않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다만 관리하시기에 손이 많이 가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