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운찬갈매기134
기운찬갈매기13422.03.23

직장에서 안좋은일 집에서 화풀이 하지 않는법?

직장에서 안좋은 일이 생기면 회사에서 풀어야하는데 나도 모르는 사이에 안좋은 기분들을 집에와서 가족들에게 짜증을 내는거 같은데 이런 저를 보고 가족들도 스트레스를 받는거 같아 미안한 맘이 듭니다. 이런 행동들을 고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인욱 심리상담사입니다.

    상담자님 이런 경우는 절대적으로

    고치셔야할부분입니다

    습관화가 진행되고있다면

    당장멈춰야하는데요

    사람인지라 쉽게 고쳐지지는

    않을꺼에요

    많은분들이 대개이러시는데요

    일단 그런일이 있으시다면

    귀가시간을좀 늦추시고요

    감정을 누그러뜨린다음 들어가보셔요


  •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장하면 안될 행동이 밖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가족에게 푸는 것입니다. 우선 질문자님께서 퇴근하셨을 때 스트레스를 받던 받지않던 30분이라도 밖에서 유산소운동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땀을 배출하는것은 스트레스해소에 도움이되고 그 시간동안 그날있었던 일을 정리할 수 있어서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좋아지실 것입니다.

    그리고 그날힘들었던 일을 배우자에게 말씀드려보시길 바랍니다. 배우자는 이유도 모르고 질문자님께 큰소리를 듣게되는데 이만큼 서럽고 힘든것이 없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심리상담사입니다.

    그렇죠 아무래도 무의식적으로 그럴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족들에게 짜증을 내기보다는 회사에서 어떤일이 있었다는 등의 대화를 하는게 좋은방법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직장에서의 스트레스를 귀가하는 도중에 푸는 코스를 계획해보시기 바랍니다. 귀가 길에 산책로를 걷다가 오는 등의 방식이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때문에 본인 스스로 너무 큰 스트레스를 받으신다면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혼자 고민하고 끙끙 앓는다고 해서 나아지는 것은 크게 없습니다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서 스트레스도 해결하시고 나아갈 길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연구에 따르면,명상은 우울, 불안 등 정신적인 문제뿐 아니라

    두통, 어깨 통증, 변비, 소화불량 등 신체적인 문제를 다스리는 데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요가나 심호흡 등도 스트레스를 완화하는데 좋습니다.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신다면 원인을 분석하고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원인을 분석하시고 그 상황을 피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스트레스 해소를 위하여 어떠한 취미활동을 찾아보세요.

    취미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받은 스트레스를 해소하세요.

    때로는 충분한 수면과 휴식도 시도해 보세요.


  • 가족은 말 그대로 자신의 분신입니다. 모든 걸 이해해주는 편안한 존재인데다가 믿어주는 대상이기도 합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집 안 식구들에게 직장 스트레스를 풀기도 합니다.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화를 낼 때는, 가족들에게 남들은 날 이해해 주는 그런 상대가 아니라는 것을 확신시켜줄 필요는 있습니다.

    어느 누구보다 가족에 대한 신뢰의 기반 위에서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가능하면 스트레스를 외부에서 해소하고 오는것이 좋습니다.

    운동을 하거나 외부 활동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적절하게 관리하며 해소한뒤에 가정에 복귀하는것이 서로간의 갈등이나 예만감을 줄일수있는 방법일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가족이 가장 편하니 뜻하지 않게 가족들에게 스트레스를 풀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한 가지 취미를 만들어 보십시요

    스트레스가 사라지는 것은 물론 집중력도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안장이 심리상담사입니다.

    절대 회사일을 집까지 가져오진 마세요

    스트레스는 더욱 금물입니다

    우선 긍정적인것에 포커스를 맞춰 일해보세요

    그리고 좋은 기분으로 하루를 시작하고

    일에서 의미를 찾아야 해요

    내가 아닌 다수를 위해 도움되는 법 찾고

    동료나 고객과 친밀한 유대감을 구축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는 것이 아닌 나를 위해 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임하면 절대 집까지 오지않아요

    항상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원석 심리상담사입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시면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아보시고 이행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밖으로 나가서 산책을 하고, 태양 아래서 햇빛을 보고, 선선한 바람을 마시는 것은 우울증의 해소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의학적으로 밝혀진 바가 있습니다.

    우울증이나 스트레스가 심하시다면 밖으로 나가는 것조차 힘이 드시겠지만 이 힘듦을 이겨내고 억지로라도 나가서 걷다보면 마음이 좋아지면서 우울증 감소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6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밖으로 향한 분노는 타인을 향한 육체적 언어적 폭력으로 나타나지만 나를 향한 분노는 무기력증과 우울증으로 표출됩니다. 사실 분노의 최고봉은 ‘자살’입니다. 우리나라가 자살률 1위를 13년째 유지하고 있고 분노조절장애가 많아진 것은 우연이 아닙니다.

    우울증은 자신을 못 살게 굴며 스스로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지 않습니다. 그것도 분노입니다. 자살 또한 실제로 시도하는 것뿐 아니라 내게 이로운 일을 하지 않고 자기 파괴적인 행동을하는 모든 것이 해당됩니다. 졸음운전, 일중독,성형중독, 미디어나 게임중독 등 자기파괴적인 행동 역시 분노의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