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원과 원숭이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영장류의 종류를 나눌 때 원숭이라고 분류하는 종이 있고 유인원으로 분류하는 종이 있는데 원숭이와 유인원을 구분하는 일반적인 기준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원숭이는 꼬리를갖고있으며 네발로다녀 이동속도가 빠르고 수직운동을 좋아합니다.
유인원은 꼬리가없거나 짧고, 두발로도 잘 다니며 완보운동을 좋아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인원(類人猿)은 말그대로 인간과 닮은 원숭이인데요, 유인원에는 긴팔원숭이, 오랑우탄, 침팬지, 고릴라가 있습니다. 유인원과 원숭이는 크게 두가지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첫째는 꼬리의 유무인데요, 유인원은 꼬리가 없고, 원숭이는 꼬리가 있습니다. 원숭이의 꼬리는 몸의 균형을 잡고 나무타기를 할 때 꼭 필요한 신체기관인데요, 유인원들은 이 꼬리가 퇴화되었습니다. 두번째는 볼주머니의 유무인데요, 유인원은 볼주머니가 없고, 원숭이는 볼주머니가 있습니다. 볼주머니는 다람주의 볼주머니를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입안에 먹이를 저장하는 공간입니다. 먹을 것이 있으면 볼이 터져나갈정도로 볼주머니에 먹이를 집어넣습니다.
유인원과 원숭이를 구분하는 기준은 꼬리의 유무와 신체 구조의 차이에 있습니다. 유인원은 꼬리가 없고, 더 발달된 뇌와 직립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신체 구조를 가지며, 대표적으로 인간,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 등이 포함됩니다. 반면, 원숭이는 꼬리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나무에서 이동하기 쉬운 몸 구조를 가지며, 개코원숭이, 원숭이류 등이 속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원숭이와 유인원의 구분은 주로 꼬리의 유무와 두뇌의 크기
신체 구조에 기반합니다.
유인원이 두뇌가 당연히 크고 꼬리가 없죠
유인원과 원숭이는 모두 영장류에 속하지만, 몇 가지 독특한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유인원의 경우 대부분 꼬리가 없습니다. 꼬리가 퇴화하여 흔적기관만 남아 있거나 아예 없습니다. 반면 원숭이는 대부분 꼬리가 있습니다. 꼬리를 이용하여 나무를 타거나 물건을 잡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합니다.
또 유인원은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길거나 비슷한 길이입니다. 이는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가지를 잡고 움직이는 데 유리한 체형입니다. 반면 원숭이는 대부분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짧습니다.
그렇다 보니 유인원은 주먹을 쥐고 손가락의 뒷마디로 지지하며 걸어 다니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원숭이는 네 발로 걸어 다니거나 나무를 타고 이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부학적으로는 유인원은 원숭이에 비해 뇌의 크기가 크고 복잡하며, 고등한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원숭이는 유인원에 비해 뇌의 크기가 작고, 상대적으로 단순한 인지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주로 해부학적인 특성과 진화적인 관계를 기준으로 나뉘어집니다.
원숭이는 대부분 꼬리가 있고, 꼬리를 이용해서 나무에서 이동하거나
매달려있거나 균형을 잡는데 도움을 받습니다.
유인원은 사람이나 침팬지, 고릴라, 오랑우탄을 포함하는데
모두 꼬리를 갖고있지 않습니다.
또한 유인원은 원숭이에비해 뇌가 상대적으로 크고 발달되어있어
높은 지능을갖고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할수있습니다.
신체움직임역시 원숭이는 보통 네발로 걸어다니고 나무를타는
수직운동을 좋아합니다.
반면 유인원은 발달된 팔을 갖고있고, 직립보행을 하기도합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가장 쉽고 일반적인 기준은 꼬리의 유무입니다. 원숭이는 꼬리가 있지만 유인원은 꼬리가 없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