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GPS오차범위라 대기의 수증기를 양을 분석할수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현재 대기의 수증기 양을 분석하는 방법이 GPS오차범위를 통한 분석이라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GPS의 오차범위로 어떻게 대기의 수증기양을 분석할수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습윤굴절률은 대기 수증기에 의해 GPS 신호경로가 단위 km당 굴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라고 합니다. GPS 신호경로의 변화되는 정도를 통해서 3차원 수증기 분포를 계산할 수 있을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GPS위성은 지구 표면으로 전파 신호를 보내며 대기를 통과할때 굴절되고 지연되는데 이는 대기의 밀도와 수증기의 함량에 따라 신호가 더 많이 지연될수 있께 됩니다!이는 대기의 여러층을 통과하며 특히 대류권에서 수증기와 기압의 영향을 받아 지연되게 되는데 이를 대류권 감쇄라고 하며 이는 대기의 수증기 양과 관련되어 있죠~대기중의 수증기량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GPS수신기를 위성으로부터 신호가 도달하는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신호가 대기를 통과할때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분석하며 대기의 상태를 추정하고 GPS신호의 지연시간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기의 수증기 양을 추정하는 모델을 만들고 GPS 신호가 통과한 경로의 시간 조건을 반영하여 수증기의 양을 추정하죠 이 과정에서 온도, 기압, 수증기의 분포 등을 측정하는것이죠~ 여러 GPS수신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하여 더 정확한 분석을 해 나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