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수입대체 전략 품목을 발굴하기 위한 실무적 접근 방법은 무엇인가요?

국내 산업 보호와 무역수지 개선을 위해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에 대한 대체 전략이 요구됩니다. 어떤 방식으로 산업별 수입 의존 품목을 분석하고 국산화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원자재가 해외산인지 혹은 이러한 원자재의 특수제조품이 해외산인지를 알아야 됩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관련 소재들은 대부분 기술력이 필요한 원자재들이며 이에 따라 가스, 일부 결정 등을 제조가공하는 원천기술이 있어야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이 개발 가능하다면 국내 대체가 가능하며, 그밖에 원산지 자체가 정해져있는 원자재는 이를 국산화 할 수 없습니다. (예: 희토류 등)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수입 의존 품목은 산업통상자원부의 품목별 무역통계나 HS코드 기준 수입액 상위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품목별 공급망 위험도까지 병행해 보는 흐름입니다. 국산화 가능성은 기술 자립도, 생산설비 보유 여부, 기업의 투자 여력 등을 고려해 판단하며, 중소기업청이나 KOTRA에서 제공하는 기술 수요조사 자료도 실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수입대체 전략 품목 발굴은 일단 산업별/품목별 전략을 다르게 취해야 할 것입니다.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을 파악하고 국내생산 가능성이나 대체 수입선 검토가 진행될 수 있으며, 경제성, 기술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국산화/대체선 확보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처음엔 품목별 관세청 수입통계를 들여다보는 게 출발점이 됩니다. 전체 수입금액에서 특정 국가 비중이 높고 대체선이 적은 품목은 위험 신호로 봅니다. 그다음에는 업종별 협회나 연구기관에서 제공하는 기술 자립도 자료를 참고하면 됩니다. 단순 조립이 아닌 핵심 소재나 부품일수록 국산화 여력은 낮지만 그만큼 전략성은 높습니다. 실무에서는 HS코드별 수입 단가나 수입처 집중도 지표도 함께 보면서 생산 기술 확보 여부를 따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설비에만 들어가는 고순도 소재라면 국내 기업 중 시험생산 단계인 곳이 있는지도 조사합니다. 수요기업이 국산 대체를 검토하는 의지가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수치만 보지 말고 실질 거래 가능성까지 함께 판단해야 실현성이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