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
회사에서 다친지 10개월이 지났는데, 산재처리를 하고 싶습니다.
회사 현장에서 도와드리다가 회사 물품에 치여 피부가
찢어져서, 응급으로 봉합 후 10개월이 흘렀는데요,
처음엔 별거아닌거 같아서 실손 청구 후 남은 치료비를
사장님께서 주시는걸로 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면 안되는거 알고있지만, 그당시엔 치료가
간단했고, 더이상 문제가 되지않았을거같았거든요.)
그런데 생각보다 다친 부분이 빨리 낫지않고
재활을 하는데도 통증이 있어서 대학병원으로 갔고,
대학병원에서는 1년되는날까지 지켜보다가
수술여부 결정하자고 말씀하시는데요.
이경우 제가 최초 다친날짜 (24년 8월) 로 산재를 신청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3년까지는 괜찮다는 얘기를 봐서요.
그리고 승인이 될 가능성은 얼마나 있을까요?
현장에서, 근무시간에, 회사 비품에 의해 다친 것이고
다쳤을 때 병원에 데려다 주신 직원분들도 계속 근무중이라...
입증은 얼마든지 가능은 합니다...
그리고 회사가 현재는 30명 미만인데, 다쳤을 당시에는
직원수가 30명 조금 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이경우 보험료인상 기준 회사 인원수가 신청하는 현재인지,
사건이 발생한 시점인지 궁금합니다. 그 외 회사에게도 불이익이 있는지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