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공사를 하는분들 보면 자격증이 없던데 작업해도 되나요?
상가나 주택 여러가지 전기 공사가 필요한곳에 보면 그 분들이 연세가 있어서
자격증이 없는것 같은데
이러한 분들이 전기 공사를 해도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양동선 전기기사입니다.
자격을 갖추지 못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할시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나 사고가 나지 않는다는 전제로 보통 고연령 작업자들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전기공사를 하는분들이 자격증을 보유할 의무는 없습니다. 단지 그들을 이끌고 관리하는분들이 자격증이 있어야 하는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기기능사입니다.
현장에서 전기 작업하시는 분들 중 경력으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기업을 등록할때 필요한 자격증의 최소 인력만 배치하고 그외 근무하시는 분들은 자격증이 없어도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공사 규모나 전력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안전과 법적 테두리에서 벗어나면 안됩니다.
그리고 기업체나 전력량이 많은곳은 전기자격증이 있어야 선임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필수인력이 있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관련 자격증을 소지해야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특히 일정 전력 이상의 전기 설비를 다루거나 안전에 직결되는 작업의 경우에는 자격증 소지 여부가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법적으로도 전기공사업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전기공사는 공사 면허를 보유한 업체만이 수행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과 면허는 안전한 작업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이라는 점을 기억하셔야 합니다. 만약 불안하게 생각되신다면, 자격증 소지 여부를 확인하시거나 면허를 가진 전문가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
실제 공사 현장에 가보면 업체나 현장의 주요 책임자들의 경우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지만,
그 일을 도와주고 있는 일용직 분들의 경우 자격증을 소지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관련 인력들은 공사 관련하여 일반적인 지원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공사 진행여부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에, 해당 공사 책임자 혹은관계자 분들의 자격증 보유 여부를 확인해 보시고,
연세가 있는 근로자 분들의 경우 어떻게 되는 건지 사고 발생 시 책임 여부는 어떤지 등등 확인해 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전기 공사는 자격증보다 수첩이 있어야 합니다 자격증이 없다고 해도 오랫동안 일을 하는 등 7년 이상 경력이 인정되면 초급 기술자 수첩을 줍니다 그렇게 되면서부터 일을 하는 곳에 합법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