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수요일
수요일

아이들의 책은 엄마나 아빠가 언제까지

아이들의 책은. 엄마나 아빠가 언제까지 읽어주는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언제부터 혼자읽기를 시키는것이

좋은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시기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잠을 자기 전에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의 언어발달은 물론

    안정된 정서 형성에도 도움이 되는 부분입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자기 전 읽어주는 책은 아이들로 하여금 행복한 꿈꾸기를 할 수 있게 도와주며

    한글 공부와 언어 발달 등 학습 효과도 뛰어나다고 합니다.

    잠자기 전 유아들에게는 베드타임 스토리가 꼭 필요하다는 의미입니다.

    전문가들은 생후 6개월부터 시작해서 최소한 10세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책을 읽어줄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시기와 혼자 읽기를 시작하는 시기는 아이의 발달 단계와 개별적인 준비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이가 책을 혼자 읽기 시작하는 나이는 대략 6~7세 정도로 보고되며, 그 전에 부모가 책을 읽어주는 경험은 아이의 언어 발달, 상상력, 사고력, 그리고 정서적 안정감을 키우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은 그 나이에 맞는 언어 발달을 돕고, 책에 대한 흥미와 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활동입니다. 부모가 읽어주는 책을 통해 아이는 단어와 문장의 구조를 자연스럽게 익히고, 이야기를 이해하는 능력도 발달합니다. 아이들이 혼자 읽기를 시작하는 시기는 대개 초등학교 1학년에서 2학년 사이입니다. 이 시기에는 자기 주도적으로 읽기를 시도하지만, 읽기 능력에 따라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제가 드린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 : )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은 초등 저학년가지 꾸준히 하면 좋습니다. 혼자 읽기는 유치원 후반-초등 저학년쯤 아이가 글 읽기에 자신감을 가질 때 자연스럽게 시작하도록 유도하세요.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은 초등 저학년까지도 좋으며, 혼자 읽기를 시작하는 시기는 아이가 글자를 익히고 책에 흥미를 느낄 때 자연스럽게 유도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전문가입니다.

    아이가 한글을 떼고 책을 읽기 시작한다고 해서 해석하는 능력까지 생기는 것은 아니기에 아이가 원한다면 최대한 오래 책을 읽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책을 읽어주는 시간은 단순히 책 내용이해를 도와주는 것을 넘어 아이와 교감하고 엄마, 아빠와 사랑을 나누는 시간이기에 최대한 많은 시간을 보내시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독서 습관의 경우에는 보통 부모님께서 책을 읽어 주시면서 생긴다고 보셔야 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꼐서 여건이 되신다면 계속해서 책을 읽어 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아이들이 잠을 자기 전에 이러한 시간을 가지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자연스럽게 패턴을 만들어 주시면 아이들은 잠을 자기 전에는 책을 읽어야 된다는 생각을 하게 될겁니다. 조금씩 패턴을 만들어 주면 아이들의 습관을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책을 읽는 시간을 갖게 하여 독서 습관을 길러주세요. 다양한 장르와 주제의 책을 아이에게 제공하여 아이가 책을 좋아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의 목소리로 책을 들으면 언어 능력, 어휘력, 문장 구조 등을 자연스럽게 배우게 됩니다. 부모와 함께하는 독서 시간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고 감정적으로도 유대감을 강화합니다.

  •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책을 읽는 습관을 기르는 데 이썽서 부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가 책을 읽어주는 시간은 아이에게

    언어능력,상상력,집중력 등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일단 2세까지는 주로 그림책을 부모와 함께 보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책을 읽어주는 것보다는 책에 있는 그리을 보면서 부모가 말해주는 이야기를 듣고 이야기와 이미지에 대한 흥미를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시기에는 부모의목소리와 언어적인 상호작용이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칩니다

    그리고 3~5세 시기에는 부모가 책을 읽어주면서 아이에게 이야기의 흐름이나 단어의 의미를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은 점차책에 관심을 가지며 이야기를 따라가고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하게 됩니다 아마 혼자 읽기 시작하는 시기는 6세쯤 되어서 아이가 글자와 단어를 인식하기 시작하는 시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처음에는 짧고 쉬운책으로 시작하는것이 좋아요 단어가 간단하고 그림이 많은책을 선택하고 부모가 옆에서 도와주는 역할을 해주면 좋습니다 아이가 책을 혼자서 읽을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 아이들은 보통 초등학교 저학년(7~9세)부터 스스로 책을 읽기 시작합니다.

    • 하지만, 이 시기에도 부모님이 책을 읽어주는 시간은 독립적으로 읽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중요한 정서적 교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그렇기에 읽어주는 것을 서서히 줄이면서 아이가 스스로 읽고 읽은 책에 대한 감상을 이야기하도록 격려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것은 나이에 상관없이 매우 유익하며, 혼자 읽기와 부모의 읽어주기는 함께 병행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책을 읽어주는 시기는 아이가 스스로 책을 읽기 시작한 후에도 초등학교 저학년, 심지어 고학년까지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어릴 때는 읽어주는 것을 통해 언어 발달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고,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도 깊어집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가면 혼자 읽기를 시작하도록 격려해야 하지만, 이 시기에도 어려운 내용의 책이나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책은 부모가 함께 읽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혼자 읽기를 시작하는 시기는 아이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1~2학년쯤이면 간단한 책을 혼자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책 읽기가 힘들어 보인다면 억지로 강요하지 말고, 쉬운 책부터 시작해 읽는 즐거움을 느끼도록 도와주세요. 부모가 읽어주는 시간은 아이가 책과 친해질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이므로, 아이가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함께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혼자 읽기로 넘어가게 하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정해진 나이는 없습니다.

    아이가 초등학생이 되더라도 계속 원할 수 있고,

    지속적인 흥미 유지를 위해 읽어 주는 것도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