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이스라엘과 하마스사태가 일어났지만 유가는 큰 변동성이 없을까요?

이스라엘과 하마스스의 전쟁으로 인하여 중동 불안이 커졌습니다.

이로인하여 유가는 큰 변동성이 보일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실제로 지금까지 유가는 큰변동성이 없는데요.

그 배경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랍권 산유국 개입 및 확전이 유가 상승 요인이긴 하지만 현재까지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만이 진행중입니다

    국지전에 감지되고 있으나, 레바논(헤즈볼라) 및 이란의 공식적인 개입은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렇더라고 유가가 전체적으로 하락세인 것은 의외이며, 이것이 바로 경기침체의 신호라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국제유가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 3주 만에 최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공급에 즉각적인 차질이 없고, 아시아 석유 수요가 약간 완화될 수 있다는 신호가 나타나면서 유가가 하락했다고 분석합니다

    세계은행 또한 원자재 시장 전망을 통해 국제 유가가 내년까지 배럴당 81달러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이 확대될 경우 150~157달러로 치솟을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유가 상승 요인이 소멸된 것은 아니므로 예의주시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이스라엘 팔레스타인전쟁이 단기적으로는 유가인상에 영향이 적지만 확전되면 영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중동 다른 국가들의 참전 가능성이

    적어진 등 이에 따라서 유가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은 주요 산유국이 아니기 때문에 유가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확전이 되어 이란 등 주요 산유국까지 참전하는 전쟁으로 번진다면, 유가는 크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