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선한수달2001
선한수달2001

옛날 연탄은 어떤 윈리로 하는 방식인건가요? 그리고 연탄으로 왜 많은 사람들이 죽는 경우도 생겼나요?

저희 아버지께서 어렸을 때 연탄 때문에 죽을 고비를 넘기셨다고 하셨습니다. 연탄은 어떤 방식으로 방을 따뜻하게 하면 이 방식이 연탄 가스로 인해 왜 죽는 경우가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질문주신 것처럼 연탄은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한때 대표적인 난방 연료로 사용되었던 물질인데요 연탄은 기본적으로 석탄을 잘게 부순 뒤, 점토와 함께 압축 성형하여 만든 연료입니다. 주성분은 탄소(C)이며, 소량의 황(S), 질소(N), 수소(H) 성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연탄이 충분한 산소가 공급될 때는 완전연소되며 이때 생성되는 이산화탄소(CO₂)는 무해하며, 발생한 열로 방을 따뜻하게 합니다. 하지만 실제 연탄 난로나 연탄 아궁이에서는 산소 공급이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 탄소가 불완전연소를 일으키는데요, 이때 생성되는 일산화탄소(CO)가 문제의 핵심입니다.

    한국식 전통 난방 구조인 온돌은 방 아래쪽에 연탄불로 데운 연기와 열이 통과하는 통로를 만들고, 그 위의 돌과 흙바닥이 데워져 방 전체에 복사열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연탄이 타면서 발생한 고온의 연기와 열이 방 바닥 밑을 지나가고, 최종적으로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야 안전합니다. 이 과정이 제대로 작동하면 방은 따뜻하고, 연탄가스인 일산화탄소는 외부로 빠져나가게 됩니다. 문제는 연탄불이 타는 공간과 연도사이에 틈새가 생기거나 통풍이 막히는 경우로, 이럴 때 일산화탄소가 방 안으로 새어 들어오게 됩니다.

    일산화탄소(CO)는 무색, 무취, 무미의 기체이기 때문에 사람은 감각적으로 이를 전혀 느낄 수 없습니다. 그런데 CO는 인체 내에서 혈액의 헤모글로빈(Hb)과 결합하는 능력이 산소(O₂)보다 약 200배 이상 강합니다. 이렇게 되면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운반하지 못하게 되어, 혈액 내 산소 공급이 급격히 차단되고 결국 뇌나 심장 같은 산소 요구량이 높은 기관이 먼저 손상되어, 의식을 잃거나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연탄의 난방 원리는 연탄 위에 수조가 있고 이 수조의 배관이 전체 방에 순환하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연탄을 연료로 하여 물을 피우게 되면 물이 끓으면서 온방에 뜨거운 물이 돌아가는 구조였습니다. 현재의 보일러와 동일합니다만 연료부분만 틀릴 뿐 입니다.

    하지만 연탄을 사용하다 사망하는 경우는 일산화탄소에 중독되어 사망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연탄이 연소할때 산소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연소과정에서 외부 공기와 순환이 되지 않으면 새로운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불안전 연소가 발생합니다.

    그럼 CO 라는 일산화탄소가 발행하게 되는데 이것이 공기중에서 우리의 폐로 들어가게 되면 산소보다 빨리 헤모글로빈에 결합하여 저산소증에 걸리게 되어 빨리 산소를 공급하여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