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외국처럼 허리케인이 불 수 있게 될 수 있나요?
기후변화에따라 이상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미국터럼 허리케인이 시시때때 불 수 있는 조건이 형성될 가능성이 존재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기후변화는 지구 전반적으로 여러 이상 기상 현상을 야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허리케인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허리케인은 대기 조건과 기후 요소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따라 발생하므로, 지역별로 발생 가능성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한반도는 대기 조건과 해양 기후에 영향을 받으며, 주로 태풍(폭풍), 풍랑, 강우, 가뭄과 같은 기상 현상이 주로 발생합니다. 허리케인은 대개 열대 지역과 주로 해양에서 형성되는데, 한반도는 이러한 허리케인의 발생 조건과는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해 전반적인 기후 패턴이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앞으로 허리케인과 같은 천재지변이 발생할 가능성이 다소 증가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후 변화에 따른 이상 기상 현상은 복잡하고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기후 모델링과 관측 데이터를 통해 기후 변화의 영향과 가능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향후 예측과 대비책을 마련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기후 변화가 지구상의 기상 현상에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입니다. 극지방에서는 빙하가 녹아 해수면 상승이 발생하고 있으며, 기온이 상승하면서 건조한 지역에서는 가뭄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태풍, 폭염, 강풍, 호우 등의 이상 기상 현상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우리나라도 지속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강수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등의 기상 이상 현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허리케인과 같은 열대성 폭풍은 우리나라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합니다. 한국의 지리적 특성상 태풍은 일본과 중국을 통과한 후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로도 그렇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과 허리케인은 같은 것입니다. 다만 지역에 따라 부르는 명칭 때문에 우리나라에 허리케인이 안오는 것처럼 생각되죠.
태풍은 태양 에너지를 많이 받는 적도부근의 바다에서 만들어집니다. 적도 부근에서 태양 에너지를 받아 물이 증발하여 상승하며 구름이 다수 만들어집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적도 부근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합니다. 태풍은 바람의 흐름을 타 중위도, 고위도까지 올라옵니다. 올라올때 바다 위를 지나면서 오는데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머금고 세력을 키우며 올라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를 강타하죠. 태풍은 육지내에서 더 이상 수증기를 공급 받지 못하기 때문에 세력이 약해지며 소멸합니다.
토네이도는 기체나 유체의 흐름 중 난류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우리 주변에서도 난류가 흔히 발생하지만 강한 상승기류(강한 저기압)와 강한 바람을 만나지 않는 이상 토네이도가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미국에서는 강한 바람이 부는 상황에서 난류가 발생해 상승기류를 거대한 토네이도가 자주 생기죠. 우리나라에서도 상승기류와 난류(바람)가 있어 토네이도가 가끔 생기지만 크지도 강하지도 않아 금방 소멸됩니다. 물론 간혹 큰 토네이도가 생길 때도 있습니다. 즉, 우리나라에도 토네이도가 발생한 사례가 있으며, 토네이도와 같은 원리인 용오름도 관측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태풍이 발생되고 미국에서는 허리케인이 발생한다고하는데요. 이는 발생 위치에 따라서 이름만 다를 뿐 같은 열대저기압에 의해 만들어진 현상으로 수온이 높은 바다에서 발생한 열대저기압으로 최대 풍속이 17m를 넘으면 태풍 또는 허리케인으로 분류합니다. 위치에 따라서 괌 주변과 같은 북서 태평양에서 발생된 열대저기압을 태풍, 북미 대륙 동쪽인 북대서양과 서쪽인 북동 태평양에 발생된 열대저기압을 허리케인, 인도양과 호주 주변 남태평양에 발생된 열대저기압을 사이클론이라고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북반구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허리케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미국과 비교하여 허리케인의 발생빈도가 낮습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더 북쪽에 위치하고 있고 바다의 수온이 낮기 때문입니다.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 우리나라도 허리케인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성 저기압이 지역마다 부르는 이름이 다른것 뿐입니다.
미국 = 허리케인
아시아 = 태풍
호주 = 윌리윌리
결국 태풍이 우리나라의 허리케인이라고 보면 될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