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비는 병원 규모에 따라서 비용이 다른가요?
병원비는 병원 규모에 따라서 비용이 다르게 책정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비용의 차이가 난다면 얼마나 차이가 날까요?
작은 병원에 가면 얼마나 저렴할까요?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의원, 동네병원은 외래 진료만 가능하거나 단기 입원이 가능한 30병상 미만의 병원입니다.
여기서 환자의 본인 부담율은 약 30% 수준입니다.
종합병원급은 진료과 4개 이상, 전문과목 2개 이상, 30~500병상 미만의 병원입니다.
본인 부담율은 약 50% 정도입니다.
상급 종합병원은 의과대학 부속병원 등이 해당됩니다.
여기서는 본인 부담율이 약 56%까지 올라갑니다.
또한 비급여 항목의 경우 100% 본인 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의원급 병원급 상급병원인 대학병원급의 진료나 치료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병원마다 다를 수 있어 다 똑 같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실비에서도 보상할때 공제하는 본인부담금이 다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당연히 병원 규모에 따라서 치료 비용도 다를 것입니다.
의원급, 병원급, 상급병원등...
실비로 청구할때도 최소 자기 부담금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당연히 의원급이 비용이 가장 저렴하겠죠..
병원은 15% 상급병원은 30%의 가산 금액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작은 병원에 가면 일반적으로 저렴합니다. 또한 저렴한 것도 그렇지만, 의료기기 및 어떤 진료를 받았냐에 따라 달라지지만 상급병원이 당연히 비쌉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병원은 그 규모 및 병상, 진료과목수에 따라 의원, 병원, 전문병원, 종합병원, 3차진료기관등으로 구분이 되며,
그 등급에 따라 건강보험처리시 가산율이 달리 적용되어, 큰 병원일 수록 더 많은 진료비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 차이는 급여, 비급여 및 상기의 가산율, 입원체감률등이 적용되어 일률적으로 얼마의 차이다라고 이야기하기는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한 보험 진료비는 모든 병원이 동일하지만, 비급여 치료, 검사비용은 병원마다 다릅니다.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병원비는 급여비용과 비급여비용으로 이중 비급여비용은 병원에서 책정하는 금액으로 병원마다 차이가 있어 예측할수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병원도 1차, 2차, 3차에 따라 의료비가 틀립니다.
즉, 1차 병원은 본인부담금이 30% 수준이지만, 3차 병원은 56%까지 올라갑니다.
그리고 진료비 가산 비율도 1차는 15% 정도이지만, 2차는 25%, 3차는 30%까지 차이가 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의료비가 10만원이라고 하면
1차에서는 3만원 정도만 지급하면 되지만, 3차에는 5만~6만원 정도 지급을 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