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미국의 다우지수는 올해 나스닥이나 S&P500지수에 비해 왜이리 부진한가요?

미국의 다우지수는 올해 코스피지수보다 상승률이 덜한 모습이며 특히 강한 상승추세인 나스닥지수나 S&P500지수와 비교하여 매우 부진한데 그 배경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다우지수는 주로 큰 전통적인 회사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기술주가 많은 나스닥이나 S&P500지수보다 덜 올랐습니다. 나스닥과 S&P500에는 빠르게 성장하는 기술 회사들이 많아서 더 많이 올랐습니다. 그래서 다우지수는 다른 지수들보다 올해 덜 오른 겁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다우지수의 상대적 부진에는 몇 가지 주요 요인이 있습니다. 먼저, 다우지수는 30개 대형주로만 구성되어 있어 시장 전체를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반면 S&P500은 500개 기업, 나스닥은 기술주 중심의 다양한 기업들을 포함하여 더 넓은 시장을 반영합니다. 기술주 비중에서도 차이가 뚜렷한데, 나스닥과 S&P500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고성장 기술주의 비중이 높아 최근의 기술주 주도의 랠리에서 두 지수가 상승한 반면, 다우지수는 상대적으로 전통 산업 기업들의 비중이 높아 이러한 랠리에서 뒤처졌습니다. 또한, 다우지수는 주가 가중 방식을 사용하여 고가 주식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며, S&P500은 시가총액 가중 방식을 사용하여 더 균형 잡힌 지수 구성을 보입니다. 다우지수에는 경기 변동에 민감한 산업재와 에너지 기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경제 불확실성에 더 취약할 수 있으며, 최근 AI 관련 기업들의 주가 상승이 나스닥과 S&P500의 상승을 이끌었지만, 다우지수는 이러한 트렌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다우지수 구성 기업 중 일부의 실적 부진이 지수 전체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다우지수는 올해 나스닥이나 S&P5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다우지수가 미국 경제 전체의 부진을 의미하지는 않고 오히려 시장의 변화와 기술 중심의 성장을 반영하지 못하는 지수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다우지수는 대부분 대기업 위주의 안정적인 주식위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승장에서는 다른 지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저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락장에서는 여타 다른 지수에 비해 방어력은 뛰어납니다.

  • 다우지수는 다른 지수들과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일단 여러 산업군들이 골고루 들어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의 시가총액에 비례해서 영향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주식 가격에 비례하기 때문에 다른 지수와는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손현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다우지수는 올해 코스피지수보다 상승률이 덜하고 나스닥지수나 S&P500지수에 비해 부진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주로 다음 몇 가지 요인 때문입니다

    1. 구성 종목의 차이: 다우지수는 전통적 대형 산업주 중심인 반면, 나스닥은 기술주 중심으로 최근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2. 경제 불확실성: 경기 침체 우려와 높은 인플레이션이 전통 산업주에 더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3. 금리 인상: 연준의 금리 인상은 자본집약적 산업주에 더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이 다우지수의 상대적 부진을 설명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다우지수가 나스닥 등에 비해 부진한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올해 주식 시장을 주도하는 것은 기술주 위주인데

    다우지수에는 기술주 비중이 18퍼센트인 반면 S&P의 경우는 30퍼센트가 넘는다고 합니다.

    이런 차이로 다우지수가 부진해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