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적당시기 접종은 언제 어떡해 해야하나요?
고양이 접종은 언제 어떤것을 해야하는지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 드립니다^^
처음으로 함께 하고 있는데 관심은 많은데 많이 부족하네요~
안녕하세요. 박예신 수의사입니다.
어린 고양이를 데리고 와서 예방접종을 실시할 때는 보통 처음으로 6주에서 8주 사이에 합니다 보통 종합 예방 백신을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10주에서 12주에 2차 접종을 하시고 14주에서 16주에 마지막 접종을 완료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부터는 1년에 보강 접종을 하시면 큰 문제 없이 접종이 완료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석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의 예방 접종은 어릴 때부터 시작합니다 보통 6주에서 8주에 기본 접종을 시작합니다 패혈증 또 식도패스트 파라 인플루엔자 등의 기본 접종을 하고 10조에서 12주에는 추가 접종을 하시면 됩니다 14조에서 16주에는 마지막으로 접종을 완료한 후에 1년 후부터는 보강 접종을 하면 됩니다 동물병원에 가시면 접종 할 때마다 다음 접종에 대해서 설명을 해 줍니다 잘 들으시고 그대로 따라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경민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의 권장 기초접종으로는 종합백신, 광견병과 선택접종항목이 있습니다.
아래의 표를 참조하시면 더욱 이해가 수월하실 겁니다.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생후 45일령부터 어미에게서 받은 모체 이행항체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이 시기에 1차 접종을 시작합니다.
동물병원에 데려가서 주치의 선생과 이야기를 하시고 예방접종 스케쥴을 잡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무열 수의사입니다.
- 고양이를 집에 데리고 오신지 열흘이 되셨을까요?
- 열흘 째 되는 날 까지 특별히 구토나 설사 증상,
감기 증상이 있었을까요? 있었다면 얼마나 되셨을까요
- 고양이가 출생 후 2개월이 지난 게 확인 되실까요?
세 가지 항목을 수의사 선생님이 확인하시고, 고양이 종합접종(헤르페스, 칼리시, 파보) 시작으로 한 달 간격으로 총 3회 접종하는 경우가 가장 베이직합니다.
종합접종으로는 예방이 되지 않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나, 고양이 백혈병은 별도로 백신을 맞는 경우가 있으나 수의사 선생님의 판단하에 크게 문제가 없어보일 경우엔 접종을 권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별도로 광견병 접종을 맞춥니다. 고양이 역시 포유류로 광견병에 감수성이 있어서 맞춥니다만, 강아지 처럼 산책을 다니는 반려동물이 아니기에 타 동물을 마주칠일이 별로 없다면 보호자와 수의사 선생님과 상담하에 접종 여부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심장사상충 및 구충 역시 강아지외 달리 한 달을 칼같이 주기로는 하지않습니다. 다만, 어린 고양이가 길냥이 출신이거나 펫샵에서 데려오신 경우 귀진드기가 있으실 수 있는데, 이 경우 동물병원에서 1~2회 치료받으시면 금방 좋아지시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며, 구충제는 수의사 선생님의 프로토콜 마다 주기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내원하시는 동물병원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하실 것이라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고양이의 예방접종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1) 혼합 예방백신, 고양이 종합백신 (FVRCP + FeLV + CH)
2) 전염성 복막염 예방백신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3) 광견병 (Rabies) 예방백신
4) 고양이 켄넬코프 (FeBt)
5) 고양이 에이즈 (FIV; Feline immunodeficiency virus)
필수 백신은 4종 종합 백신 (헤르페스, 칼리시, 파보, 클라미디아)이며, 비필수 백신은 백혈병입니다.
종합백신은 생후 8~12주 사이에 1차 접종 후 3주 간격으로 3회 접종이 추천됩니다.
광견병 백신은 생후 12주 이후 접종, 백혈병 백신은 생후 8주에 1차 접종 후 3~4주 간격으로 총 2회 접종이 추천됩니다.
종합백신과 광견병백신은 1년마다 한 번씩 추가로 접종하는데요. 특히 우리나라에서 개·고양이는 가축전염병예방법에 따라 매년 광견병 예방접종을 맞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