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비둘기
비둘기23.07.14

약의 맛이 모두 쓴 이유는무엇인가요?

나이
39
성별
남성

옛말에 입에쓴것이 몸에좋다는 말이 있듯이 약들의 맛은 정말 하나같이 쓴맛만있습니다.

무맛이나 다른맛이 날만한데도 신기하게도 일관적으로 쓴맛이 나는데

이렇게 약이 쓴맛이나는것은 제조과정상의 특징인것인지 그냥원료의 맛이 쓴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시럽제의 경우 감미료 등이 들어가기에 단맛이 나기도 합니다. 정제의 경우는 감미려가 들어잇지 않아 쓴맛이나구요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한 논문에 의하면 대부분의 약물은 세포 내에서

    생리학적 과정을 방해함으로써 작동합니다.

    의약품들은 과다하게 복용하면 독성을 나타나게 되며

    쓴맛은 독성 물질의 섭취에 대한 억지력이 진화한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단맛이 나면 약을 먹었을 때 혈당을 높일 수도 있기때문에 대부분의 약은 단맛보다는 쓴맛이 많이 나요.

    화학물질로 합성했기 때문에 우리가 쓴맛으로 인지하게되구요.

    항상 건강하시길 바라고 또 궁금한점이 있으면 아하 약료게시판에 질문 남겨주세요.

    추천, 좋아요 눌러주세요 !


  • 안녕하세요. 황상일 약사입니다.

    사실 모든약이 쓴것은 아닙니다.

    츄정이나 애들 시럽이나 한약제제 중에서도 단맛을 가진것들(감초등)이 있습니다. 알약중에는 당의정이라고 표면을 백당으로 코팅해서 쓴맛을 완화시킨약도 있습니다.

    보통 알약이 쓴 이유는 약에 약성분 뿐만 아니라 붕해제 부형제 방출조절제 등이 들어가는데 이런 것들이 대부분 쓴맛을 유발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약을 달달하게 만들려면 쓸데없는 당 성분이 들어가게 됩니다.

    아이들이 잘 먹을 수 있게 처음부터 과립, 산제 타입의 약들이나 씹어서 먹거나 입에서 녹여먹는 약들은 설탕, 과당 등이 들어있어 단맛이 납니다.

    합성 향료나 당성분을 빼면 순수 약성분과 부형제만 들어가기때문에 쓴맛이 나는것은 당연합니다.

    합성 화합물이니까요.

    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답변자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