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수동적인 자세가, 아이에게 영향을 주기도 하나요?
무조건적으로 받아주고, 양보, 배려 이해만을 중시하게 되면 아이의 성격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게 되나요? 주체적이지 못한 사람이 될수도 있는건지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무조건적 배려, 양보, 이해는 아이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 되어질 수 있습니다.
즉, 자기의 속마음을 숨긴채 그들에게 맞춰간다면 자기 라는 존재감이 살아지고, 자신의 주장에 대한 부분이 미흡해 질 수 있겠습니다. 즉, 소심해지고, 소극적이고, 내성적이고, 내향적인 성향으로 변화해 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기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자기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할 때는 상대의 기분이 상하지 않도록 전달 할 수 있도록 아이의 행동적 지도를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의 수동적인 자세에게 지나치게 의존적 성격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주체적인 사고와 행동을 키우려면 적절한 규칙과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의 수동적인 자세는 아이에게 의존성와 주체성 결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지나친 양보는 아이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지 못하게 할 수 있으므로, 균형 잡힌 교육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네, 아이의 성격은 본인의 행동, 또래 친구와의 교류, 학교에서의 생활도 영향을 미치지만, 보호자를 보고 배우게 되는 것도 있고, 보호자의 태도나 행동이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따라서 그러한 수동적인 자세가 누적되고, 이러한 수동적인 행동을 자녀에게 강요하면 자녀도 수동적으로, 주체적이지 못하게 자라게 될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부모의 수동적인 자세가 아이에게도 좋지않은 영향을 줍니다 아이의 부정적인 생각을갖지않게 긍정적 피드백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