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자전을 왜 우리는 느낄 수 없을까요?
지구의 크기를 생각해 보면 그래도 느린속도가 아닐텐데요.
왜 사랑은 이렇게 빠른 속도인데 돌아가는 것을 전혀 느낄수가 없는 걸까요?
지구의 자전속도는 적도기준으로 시속 1,660 km/h 입니다.
상상을 초월하는 속도 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지구가 자전할때 지구안에 있는 모든것이 같이 돌고 또 중력이 사람을 고정하여 당기고 있기 때문에 느끼지 못합니다.
자전시 360도를 24시간에 1바퀴 돈다고 했을때 1초에 0.004도 , 1분에 0.25도를 돌게 됩니다.
몸이 느끼기에는 아주 작은 움직임 입니다.
하여 엄청난 속도로 돌지만 느끼지 못하는 이유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첫번째로, 우리가 비행기를 타면 비행기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것처럼 지구전체가 동일한 속도로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느끼지 못하는것입니다.
두번째로 지구는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중력에의해 원심력을 느낄수 없기 때문에 지구의 자전을 체감하기 힘든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리는 열차나 자동차 내에서 속도를 못 느끼듯이,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고 있다면 속도를 느낄 수 없습니다. 이것을 상대속도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와 같이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느낄수 없는겁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친구와 서로 다른 차를 타서 갈경우 빨리 달려도 친구와 똑같은 속도로 이동하고 있게 되죠. 이와 같은 원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는 지금도 엄청난 속도로 지구 중심을 외각에서 돌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느끼지 못하죠...
예를 들어 우리가 유리창이 없는 진동없는 기차에 탄다면 그 속도감을 느낄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내 주변과 내가 같은 속도로 돌고 있기 때문이죠.
이와 같은 원리, 내가 지구표면과 같은 속도로 돌고 있기때문에 느끼지 못하는 것입니다.
지구의 자전이 원운동이기 때문입니다.
먼저 우리 지구가 몇 도 움직이는 생각해보면 답은 간단합니다.
24시간 동안 360도를 돌아야되므로 360 / 24 / 60 / 60 = 약 0.00416도 정도 움직이게 됩니다.
즉 사람이 0.00416도 회전을 느끼기에는 매우 작은 각도이기 때문에 느낄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비행기나 기차를 타셨을때 창문이 없다고 생각해보세요. 내부에 있는 물건들은 그대로 있고요.
아무리 빠르게 움직여도 빠르게 움직이는지 아닌지 알 수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고작 400여년 전만해도 지구의 움직임을 느낄 수 없다는 이유로 지구가 돈다는 것을 믿지 않았죠.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의 하루는 어떻게 생겨나는 걸까요? 바로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죠. 지구는 자전축을 중심으로 하루 한 바퀴씩 도는데요. 지구의 자전 방향은 서쪽에서 동쪽이며 1시간에 15°씩 회전하여 24시간 동안 360°, 한 바퀴를 돕니다. 자전을 하면서 태양을 향하는 쪽은 낮이 되고 향하지 않는 쪽은 밤이 되어 매일 반복됩니다.
지구는 약 시속 1,700km의 아주 빠른 속도로 움직이지만, 지구에 사는 인간들을 이것을 직접 느낄 수 없습니다. 그 이유는 지구의 모든 것이 함께 움직이고 있기 때문인데요. 산과 바다, 우리가 사는 건물, 공기까지 모두 같이 움직여 일반 항공기보다도 훨씬 빠른 속도임에도 체감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지구에서 소리가 나지는 않을까요? 이것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소리가 어떻게 전달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소리는 어떻게 전달되나요?
소리는 물체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고 매질의 진동으로 인해 전달되는 파동으로 음파라고도 합니다. 매질은 파동을 전달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기체, 액체, 고체 등의 형태로 존재합니다. 공기 중에서 소리가 전달된다면 공기가 매질이 되고, 물속에서 전달된다면 물이 매질이라고 할 수 있죠. 이 중 주요한 매질의 역할을 하는 것은 공기입니다.
- 소리의 전달 과정
물체가 진동하면서 소리가 발생하고 이는 주위의 공기를 진동시킵니다. 그리고 공기의 진동이 귀속으로 전달되어 고막을 진동시키게 되죠. 고막의 진동이 귓속뼈, 달팽이관, 청각신경을 거쳐 대뇌로 전달되면 소리를 듣게 되는 것입니다.
자전소리를 들을 수 없는 이유
우주는 진공상태입니다. 따라서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매질이 없기 때문에 지구가 자전하는 소리를 들을 수 없는 것입니다. 물론 자전소리 뿐만 아니라 우주에서는 모든 소리가 전달되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선 밖에서 작업할 때는 우주복 안의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대화를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우주의 소리는 절대 들을 수 없는 걸까요? 천체가 방출하는 전파를 첨단기기를 통해 음파로 변환한다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우주를 떠도는 전자기파를 모아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로 변형하여 공개한 사례가 있습니다. 카시니호가 보내온 토성의 소리와 보이저호가 보내온 목성의 번갯불 소리 등 우주의 신비로운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소리가 없는 세상에서 우리는 살아갈 수 있을까요? 서로의 목소리를 들으며 대화를 할 수도 없고 자연의 소리, 노래 부르는 소리 등 소리의 아름다움을 느끼지도 못했을 것입니다. 공기가 우리를 숨 쉬게 해줄 뿐만 아니라 소리를 전달하는 매개체라니 더욱더 소중하게 느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