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화산의 종류중 휴화산이라는 개념을 안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과거 중고등학교때만 해도 활화산 휴화산이라는 개념을 배우고 사용했는데요
그런데 최근 지질학계나 화산전문가들 사이에서 휴화산이라는 개념을 더이상 사용을 안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에는 지질학계에서는 "휴화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화산의 활동성을 정확히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더 정확한 용어와 분류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비롯됩니다. 대신, 화산의 활동성을 평가하는 기준에 따라 "활동화산", "잠재화산", "사멸화산" 등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는 화산의 활동성과 위험성을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휴화산(休火山)은 현재 분화를 멈추고 잠정적으로 활동이 중단된 화산을 말한다.
여전히 활발히 활동 중인 것은 활화산이라고 칭하며, 만일 이 상태에서 지반이 완전히 안정되어 앞으로 더 이상 활동하지 않을 경우 사화산이 된다. 사화산은 최근 추세 상 마그마 방이 이동해서 일반 산이 되었으면 그냥 화산이었던 곳 정도로 인식하며[1] 휴화산과 활화산은 사실 한끗 차이로 휴화산도 마그마 방이 존재하여 수틀리면 언제든 분화가 가능하다.
전술했듯이 사화산이라는 명칭은 편의 상 붙인 것이고 학계에서는 이미 해당 용어가 폐기되었음을 명심해야 한다. 현재 사화산이라고 불리는 모든 화산이라도 마그마 방이 확실히 이동한 것이 아니면 언제든 휴화산, 혹은 활화산으로 부활할 가능성이 있다고 봐야 한다. 물론 시베리아 트랩 같은 곳들은 진작 마그마 방이 이동해서 그냥 화산이었던 곳 정도라 걱정 안 해도 된다.
최근에는 역사 시대에 분출 기록이 있는 산은 휴화산이 아닌 활화산이라고 정의하기도 하며, 이 경우 백두산과 한라산, 후지산 등은 모두 활화산이 된다. 이 기준에 따르면 휴화산과 사화산을 가르는 기준은 내부 마그마 활동의 유무라고 한다. 이 분류에 따르면 서울 - 원산 축선의 추가령 열곡과 제주도의 오름들, 울릉도의 나리 분지 등은 휴화산이 된다.
출처 : 나무위키 - 휴화산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최근 지질학계나 화산전문가들은 휴화산이라는 개념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과거 휴화산으로 분류되었던 화산들이 갑작스럽게 활동을 재개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화산의 활동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점이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또한, 화산 활동은 지속적인 변화 과정이기 때문에, 휴화산이라는 정적인 개념으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는 화산의 활동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잠재 활화산', '잠복 활화산', '활화산'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에는 활화산과 휴화산이라는 개념이 사용되었습니다.
화산의 활동성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활화산이라고 분류되었던 화산이 나중에 다시 활동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휴화산이라는 개념은 화산의 활동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화산의 활동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변화하였습니다. 예전에는 화산이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랫동안 활동을 유지하는지를 기준으로 활화산과 휴화산을 구분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화산의 지질학적 특성과 활동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따라서 휴화산이라는 개념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화산의 활동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활동성이 낮은 화산도 휴화산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활동성이 높은 화산도 휴화산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지역적 차이로 인해 휴화산이라는 개념은 더 이상 일관성있게 사용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화산의 활동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과학적으로 더 정확한 방식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예전에는 화산의 활동성을 판단하기 위해 지질학적인 증거만을 사용했지만 최근에는 지진 지열 가스 등 다양한 지질학적 측정 방법을 활용하여 더 정확하게 활동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과학적 발전으로 인해 휴화산이라는 개념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휴화산은 과거에 사용되던 화산 분류 용어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현대적인 지구 과학에서는 휴화산이라는 용어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정확한 정의의 어려움: 휴화산은 활동 중이지 않지만, 미래에 다시 활동할 가능성이 있는 화산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언제 다시 활동할지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불확실하다는 점 때문에 휴화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여겨지게 되었습니다.
2. 비교적 덜 사용되는 용어: 현대적인 지구 과학에서는 화산의 활동 여부와 화산의 특성 등을 더 정확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휴화산이라는 용어는 비교적 덜 사용되고 있습니다.
3. 화산 분류 방식 변화: 현대적인 지구 과학에서는 화산을 활동성, 분출 형태, 지질 특성 등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분류하고 지정합니다. 이러한 정확한 분류가 화산의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현대적인 지구 과학에서는 휴화산이라는 용어 대신 화산의 활동 여부와 다른 특성들을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분류와 지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화산의 활동을 예측하고 대비하는데 보다 유용하며, 안전과 환경 보호에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휴화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화산의 활동 여부와 다른 특성들을 고려하여 화산을 분류하고 지정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과거 중고등학교 과정에서 활화산과
휴화산이라는 개념을
학습했던 경험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통적인 기억입니다.
최근 지질학계와 화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휴화산이라는 개념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과거에는 분화 기록이나 지형적 특징에 근거하여 화산을
활화산 휴화산 사화산으로 분류했습니다.
이러한 기준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고 과학적 근거도 부족했습니다.
휴화산은 장래에 분화할
가능성이 있는 화산으로 정의되었지만
실제로 언제 어떤 방식으로 분화할지
예측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습니다.
과거 분화 기록이 없는 사화산으로 분류된 화산도 언제든지
다시 활동을 시작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거 일정 기간 내에 분화 활동을 보였거나 현재 활동 징후
를 보이는 화산
과거 분화 활동이 있지만 현재는 활동 징후가 없는 화산
유사 이래 분화 활동의 기록이 없는 화산
과거 분화 기록
지질학적 특징 지열 활동 등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분류합니다.
모든 화산은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드러냅니다.
보다 효과적인 화산 관리 및 대비 정책 수립에 기여합니다.
휴화산 개념의 폐기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화산 관리 및 대비를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모든 화산은 잠재적인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관찰과
연구를 통해 화산 재해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