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1800년대 진주 농민 봉기가 일어난 이유는 무엇인가요?

1800년대 중반 진주에서는 진주 농민 봉기라고 농민들이 들고 일어났다고 하는데요.

어떤 이유에서 일어났고, 봉기의 결과 어떤 것들이 바뀌었는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철종 때의 임술민란의 도화선이 되었다. 직접 동기는 경상도우병사 백낙신(白樂莘)의 불법 탐학에 있었다. 그는 부임한 이래 갖은 방법으로 농민을 수탈한 금액이 줄잡아 4만∼5만 냥이나 되었다.


    그런데도 진주목의 역대 불법 수탈곡인 도결(都結) 8만4000여 냥을 일시에 호별로 배당해 수납하려 하였다. 우병영(右兵營)에서도 이 기회를 이용해 신구범포곡(新舊犯逋穀)인 환포(還逋) 7만2000여 냥을 농가에 분담, 강제로 징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처사는 그렇지 않아도 파탄 지경에 다다랐던 농민들을 극도로 분격시켰다. 진주에서 서남쪽으로 30리쯤 떨어진 유곡동(杻谷洞)에 사는 유계춘(柳繼春)은 김수만(金守滿)·이귀재(李貴才) 등과 함께 이에 대한 농민운동을 일으킬 것을 모의하였다. 그리고 보다 많은 농민을 동원할 방법과 군중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나아갈 행동 계획을 마련하였다.


    그러던 중 이웃 단성(丹城) 주민의 봉기에 자극된 그들은 언방(諺榜 : 한글로 된 방문)·회문(回文)·통문(通文) 등을 지어 발표하면서 마침내 2월 18일 이른 아침에 행동을 개시하였다.


    그들은 먼저 서쪽에 있는 수곡(水谷) 장터를 휩쓸고 이어 덕산(德山) 장터로 몰려가서 철시(撤市)를 강행하였다. 여기에서 위세를 떨치게 된 농민 시위대는 스스로를 ‘초군(樵軍)’이라 부르면서, 머리에 흰 수건을 두르고 손에는 몽둥이나 농기구를 쥐고서, 유계춘이 지었다는 노래를 부르며 구름처럼 진주성으로 몰려갔다.


    그들은 시위에 불참하는 자에게는 벌전(罰錢)을 받았고, 반대하는 자는 집을 부셔 버렸다. 이 때문에, 이제까지 잠잠하던 다른 지역의 농민들도 속속 이 대열에 가담해 그 세력이 수만 명에 이르게 되었다.


    하룻밤을 성밖에서 지샌 농민 봉기군은 19일 우병사 백낙신과 목사 홍병원(洪秉元)으로부터 통환(統還)과 도결을 혁파한다는 완문(完文)을 받아 냈다. 그러나 흥분한 군중은 우병사를 첩첩이 둘러싸고, 그의 죄상을 하나씩 들추어 협박하는 한편, 부정 관리로 손꼽히던 권준범(權準範)과 김희순(金希淳)을 불태워 죽였다.


    그리고 그들이 자진 해산하기까지 4일 동안에 부정 향리들을 닥치는 대로 붙잡아 4명을 타살하고 수십 명은 부상을 입혔다. 또 평소 지탄의 대상이 되었던 부호들을 습격해 23개 면에 걸쳐 126호를 파괴하고 재물을 빼앗으니, 그 피해액이 모두 10만냥에 달하였다고 한다.


    이에 조정에서는 2월 29일에 부호군 박규수(朴珪壽)를 진주안핵사(晋州按覈使)로 임명해 수습하게 하였다. 그는 약 3개월에 걸쳐 이 민란을 수습했는데, 그 처벌 상황을 보면 농민 측은 효수(梟首) 10명, 귀양 20명, 곤장 42명, 미결 15명이었고, 관리 측은 귀양 8명, 곤장 5명, 파직 4명, 미결 5명이었다.


    그러나 이 민란은 비슷한 처지에 놓여 있던 다른 지방의 농민을 자극해 이 해에 전국에 걸쳐 30여개 지역에서 농민이 봉기하였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진주 농민 봉기의 발발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었습니다.

    1.억압적인 지주 시스템: 조선 왕조는 양반으로 알려진 작은 귀족 계급이 권력과 부를 쥐고 있는 엄격한 사회 계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농민들은 지주 제도 하에서 가혹한 착취에 직면했습니다. 그들은 무거운 세금을 내야 했고 귀족들의 땅에서 무급 강제 노동인 코르베 노동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2.심각한 경제적 어려움: 1800년대 동안, 홍수와 가뭄을 포함한 몇 가지 자연 재해가 있었고, 이것은 농작물의 실패와 식량 부족으로 이어졌습니다. 농민들은 먹고 살기 위해 고군분투했고, 그들의 경제 상황은 악화되어 불만을 악화시켰습니다.


    3.정부 부패 및 비효율성: 조선 정부는 부패와 비효율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지방 관리들은 종종 그들의 권력을 남용하여 농민들을 착취하고 그들의 책임을 소홀히 했습니다. 이것은 농촌 주민들의 분노를 더욱 부채질했습니다.


    4.지적 영향력: 새로운 사상과 이념의 확산은 불만을 부채질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평등, 사회 정의, 개혁과 같은 개념들이 설득력을 얻었고, 당시 지식인들은 억압적인 사회 구조를 비판했습니다. 이러한 생각들은 농민들에게 반향을 일으켰고 집단적인 불만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진주 농민 봉기는 1801년 현재의 한국의 도시인 진주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반란은 제도의 부당함을 직접 경험한 홍경내 전 군관이 주도했습니다. 반란군은 진주를 점령하고 농민 정부를 구성하여 토지 재분배와 사회 개혁을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봉기는 결국 정부군에 의해 진압되었고, 홍경내는 처형되었습니다. 그 반란은 당시의 깊은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부각시켰고, 한국에서 미래의 봉기와 개혁과 변화를 위한 운동의 전조가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낙신이라는 탐관오리가 있었는데 이 사람을 타도하자고 운동한 사람이 유계춘이라는 분입니다. 당시는 조선 후기라서 세도정치로 인한 삼정문란이 심각했습니다. 삼정문란으로 인해서 백성들의 고통은 점점 심해졌습니다. 왜냐하면, 관직을 매관매직하기 때문입니다. 그 관직을 소유한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니 세금을 더 많이 거두려고 합니다. 백성들은 더더욱 살기 힘들어지는 것입니다. 삼정문란으로 인해 이 임술농민봉기가 발생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박규수가 삼정이정청을 설치했지만, 당시 기득권들의 반대로 인해 제대로 실현되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