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종 때 일어난 진주농민 봉기에 대해 알려주세요~
조선시대 칠종 임금 시절 일어난 진주농민 봉기는 어떤 이유에서 일어났고, 이를 통해 어떤 사건까지 발생하게 됐는지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862년에 일어난 진주 농민 봉기는 세도 정치로 인한 탐관오리의 수탈로 인한 삼정의 문란, 그것도 환곡의 문란이 원인이었습니다.
진주목사 홍병원(洪秉元)과 경상도우병사(慶尙道右兵使)로 부임한 백낙신(白樂莘)은 갖은 방법으로 탐학을 일삼았습니다. 홍병원은 착복한 세수를 채우는 손쉬운 방법으로 환곡, 군역을 도결로 각호에 배당하였습니다. 아울러 1862년 들어 경상우병영에서도 병영의 환곡 중 부족한 부분을 통환(統還)으로 부과하여 강제로 징수하려고 하자 이에 농민들은 격분하였습니다.
이에 1862년 2월 진주의 몰락 양반 유계춘(柳繼春)이 중심이 되어 회문(回文)을 작성하여 유곡리의 초군(樵軍)에게 돌리는 것으로 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민란은 진주 전역으로 확대되기에 이르렀습니다. 농민봉기군은 경상도우병사 백낙신과 진주목사 홍병원에게 도결과 통환을 혁파할 것을 공문으로 보내고 부정한 부호를 습격하였습니다. 정부에서는 안핵사 박규수를 파견하고,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습니다. 그리고 유계춘을 비롯한 10명이 효수되면서 민란은 종식되는 듯 보였으나, 진주에서 시작한 농민 봉기는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 일대에서 일어난 임술민란(壬戌民亂)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도정치기에 삼정의 문란으로 인해 발생한 농민봉기 중 하나로, 경상우병사 백낙신의 탐학과 수탈이 계기가 되어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진주농민봉기를 계기로 전국적으로 농민봉기가 일어나게 되었으며, 이는 조선 사회의 모순이 집약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평가됩니다. 이후 정부는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여 농민들의 부담을 완화하는 조치를 취했으나, 근본적인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후에도 농민봉기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진주농민봉기는 철종 13년(1862년)에 일어난 농민 봉기로, 세도정치기에 삼정의 문란으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당시 경상우병사였던 백낙신의 착취로 인해 시작된 진주농민봉기는 전국적 농민 봉기인 임술 농민 봉기를 촉발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철종 때인 1862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관리들의 횡포에 저항하며 농민들이 일으킨 봉기입니다. 이 해 전국 곳곳에서 농민봉기가 잇달았으며 고종이 임금이 된 후에도 계속되어 1894년에 일어난 동학농민운동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진주농민항쟁은 1862년(철종 13) 농민항쟁 가운데에서도 가장 중심적인 사건입니다. 김인섭(金麟燮)이 주도한 단성민란(丹城民亂)과 더불어 농민항쟁의 규모가 가장 큰 곳 중 하나였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굉장히 주목하였다고 합니다. 진주농민항쟁의 근본적 원인은 그동안 누적되어온 환곡(還穀) 문제 등 소위 삼정의 문란이 누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이서배들의 부정부패에 의하여 발생한 결손은 심각한 문제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