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rogermaan
rogermaan

조선 후기 진주 민란에 발생 원인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조선 후기에는 어려워져 수많은 민란이 발생하여 사회가 어지러웠는데요 1861년 진주민란는 아주 큰 민란이었습니다 진주 민란에 발발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진주민란은 1862년(철종 13) 2월 18일에 경상도 진주에서 일어난 농민들의 반관숙정운동입니다.

    원인으로는 철종 때의 임술민란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직접 동기는 경상도우병사 백낙신(白樂莘)의 불법 탐학에 있었습니다. 그는 부임한 이래 갖은 방법으로 농민을 수탈한 금액이 줄잡아 4만∼5만 냥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후기에 들어서면서 나라정치가 부패와 억압이 심해졌습니다. 정부는 세금을 많이 거둬들이고, 중간관리자격인 관리들도 농민들을 학대하고, 본인들 재산 늘리기에 바빴습니다. 그리고 이런 때 홍수같은 자연재난이 일어나니 해도해도 너무 하니까 민란으로 일어났습니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민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