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에 한글을 언문이라고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지금 판단해 보면 한글은 정말 과학적인 글자라 생각됩니다. 발음의 구강 모양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언문이라고 차별 하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에 한글을 언문이라고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언문(諺文)'은 원래 '언'이란 우리말, 또는 정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즉 훈민정음 해례에 보면 “문(文)과 언(諺)을 섞어 쓸 때는……” 또는 “첫소리(초성)의 ㆆ과 ㅇ은 서로 비슷하여 언에서는 가히 통용될 수 있다. ”라고 하였고, “반혓소리 ㄹ은 마땅히 언에 쓸 것이지 문에는 쓸 수 없다. ”고 하였는데, 여기서 ‘언’은 우리글 · 우리말의 뜻으로 쓰인 것입니다.
그리하여 <세종실록>에는 언문청(諺文廳)이라는 말이 나오고(28년 11월조), 또 바로 ‘언문’이라는 말도 나타납니다(25년 12월조). 또, 그 뒤로는 ‘언서(諺書)’라고도 하였으니, 이것은 한문을 ‘진서(眞書)’라 한 데 대립시킨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