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강한나비61
완강한나비61

하루살이는 입이 없다는데 맞나요?

하루살이는 입이 없다는데 정말인가요?

그럼 종족번식은 어떻게 하죠?

에너지를 섭취해야 알을 생성 할텐데 도대체 정답이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근면한하마253
      근면한하마253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살이는 특이한 곤충으로, 수명이 매우 짧아서 하루만 살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습니다. 하루살이의 성충은 단 몇 시간에서 몇 일 동안만 살지만, 그 동안에 번식을 수행합니다.

      하루살이의 생태: 하루살이는 수면에서 주변 풀을 잡고 아성충으로 우화하여 날개를 말리는 과정에서 잠자리의 밥이 됩니다. 아성충은 입이 퇴화되어 먹이를 먹지 못하고 이슬과 같은 것을 먹습니다. 유충 때 축적된 영양분으로 버티며, 짧은 수명 때문에 죽기 전에 자기 자손을 번식시키려는 본능에 의해 일몰 전 후 조명이 밝은 곳에서 떼로 모여서 공중을 날며 짝짓기를 합니다. 수컷은 긴 다리를 이용하여 암컷의 가슴을 잡아 S자 형태로 짝짓기를 합니다.

      종족번식: 하루살이는 물에서 번식합니다. 알에서 유충을 거쳐 성충이 될 때까지의 수명은 2~3년 정도입니다. 성충은 짧은 수명 때문에 죽기 전에 자기 자손을 번식시키려는 본능에 의해 짝짓기를 합니다.

      에너지 섭취: 하루살이의 성충은 입이 퇴화되어 먹이를 먹지 못합니다. 대신 유충 때 축적된 영양분을 활용하여 버텨야 합니다. 하루살이의 성충은 짧은 수명 때문에 죽기 전에 자기 자손을 번식시키려고 합니다.

      따라서 하루살이는 특이한 생물로, 짧은 수명에도 번식을 수행하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살이는 입이 있습니다. 하루살이는 작은 입으로 미세한 식물플랑크톤이나 작은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어서 생존합니다. 종족번식은 수컷과 암컷이 존재하며, 수컷이 정자를 암컷의 알에 방류하여 번식합니다. 에너지를 섭취하여 알을 생성하는 과정은 다른 동물들과 비슷하게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하루살이도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에너지를 섭취하여 번식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살이는 입이 없습니다. 먹이를 섭취하거나 소화하는 과정은 없으며,

      성체는 잎이나 줄기에서 영양분을 직접 흡수합니다.

      유충은 잎을 갉아먹는 습성이 있지만,

      성체가 되면 잎에 기생하여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하루살이는 무성생식과 유성생식 두 가지 방식으로 번식합니다.

      무성생식:

      분열: 몸을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각 조각이 새로운 개체로 성장합니다.

      출아: 몸 안에서 새끼를 낳아 성장시킨 후 몸 밖으로 방출합니다.

      유성생식:

      암수 교배: 암컷과 수컷이 교미하여 알을 낳습니다. 알은 부화하여 새끼 하루살이가 태어납니다.

      하루살이는 잎이나 줄기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얻습니다.

      이 에너지는 알을 생성하고 번식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루살이는 짧은 일생 동안 많은 알을 낳아 번식 성공도를 높입니다.

      하루살이는 입이 없지만 무성생식과 유성생식을 통해 번식하며, 잎이나 줄기에서 영양분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얻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루살이의 유충시절에는 입이 있어 물속의 바위나 자갈에 붙은 물때, 낙엽 등을 먹고 살지만, 성충이 되면 입이 퇴화하여 먹이를 섭취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섭취한다고 해도 수분 정도만 가능한 정도이고 먹지못해 죽는다고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