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전도체는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건가요?
요즘 초 전도체에 대해서 너무 궁금한게 있는데요 뉴스에도 많이 나오던데 혹시 초 전도체는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건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초전도체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현상입니다.
초전도 현상은 1911년에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인 오너스가 영하 269도 이하에서 수은의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것을 발견하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런 초전도 현상은 임계 온도 이하의 초저온에서 금속, 합금, 반도체 또는 유기 화합물 등의 전기 저항이 사라져 전류가 장애 없이 흐르고, 외부 자기장과 반대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하는 반자성을 띄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초전도체는 현실적으로 존재하는것 입니다.
다만 극초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입증되므로 현실에 상용되기 어려운것 이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초전도체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현상입니다. 초전도는 물질이 특정 온도 이하에서 전기 저항이 완전히 사라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1911년에 영국의 과학자 헤이저 메리스와 1913년에 네덜란드의 과학자 헤이크 쿨위크에 의해 처음 관찰되었습니다.
헤이크 쿨위크는 수은을 냉각하여 매우 낮은 온도인 절대영도 근처인 약 4.2 켈빈까지 냉각한 후, 수은의 전기 저항이 갑자기 사라지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이후로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물질에서 초전도 현상을 관찰하고 연구했습니다.
과학자들은 초전도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과 이론도 개발했습니다. 1957년에는 바네스-쿠퍼이론 또는 BCS 이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이 발표되었습니다. 이 이론은 초전도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전자들이 "쿠퍼 쌍"이라고 불리는 특수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제안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준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초전도체에 대해 설명부터 드리겠습니다. 매우 낮은 온도에서 전기저항이 0에 가까워지게 되면서 초전도현상이 나타나는 도체를 말합니다. 내부에는 자기장이 들어갈 수 없고 내부에 있던 자기장 또한 밖으로 밀어내다보니 자석 위에 떠오르면서 자기부상현상이 일어나는데요.
원래도 알고 있던 현상이지만 이번에 이슈가 되었던거는 극저온에서만 발현되는 현상을 상온에서 가능하다고 발표가 되면서 전세계가 놀랐지만 최근에 미국에서는 상온에서는 어렵다고 발표하면서 일단락 되었습니다.
원하시는 궁금증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온 초전도체"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인 초전도체들은 절대영도에 가까운 매우 낮은 온도에서만 작동하므로, 이들을 실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여 냉각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온에서 작동하는 초전도체를 개발하는 것은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목표였고 LK99를 개발했지만 논란중에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요즘 초 전도체에 대해서 너무 궁금한게 있는데요 뉴스에도 많이 나오던데 혹시 초 전도체는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건가요?
- 아직 진위여부가 발표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