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으로 폐원한 어린이집, 유치원이 늘고 있습니다. 신입생 모집이 되지 않아 2024년 폐교한 대학은 어느정도인가요?
저출산로 인해 교육계에도 큰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
문을 닫는 어린이집, 유치원도 늘어나고 있고
초등학교도 통폐합 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신입생 모집이 되지 않아 2024년 폐교한 대학은 어느정도인가요?
2000년 이후 전국에서 폐교한 대학은 22개교라고 합니다.
2024년에 폐교한 대학은 강원관광대학이라고 합니다.
한 의원의 조사에 따르면 2040년에는 지방대 절반이 문을 닫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말씀하신것처럼 저출산으로 인해 한국의 교육계가 큰 타격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신입생 모집이 되지 않아 폐교한 대학의 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현재 추가 모집이 필요한 대학은 162개교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는 고등학교 3학년에 해당하는 학령 인구의 감소와 맞물려 지방 대학들이 심각한 정원 미달 사태를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방 대학의 존립이 위협받고 있으며, 정책적인 재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한계대학으로 분류된 대학은 84개 대학입니다.
이 대학들은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폐교 가능성이 높은 상태 입니다.
보통 지방대학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교육부와 한국사학진흥재단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전국에서 문을 닫은 대학은 최근 강원관광대(2024년 2월 29일 기준)를 포함해 22곳이며, 이 중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 대학은 2곳(인제대학원대학교,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폐교 대학들은 대부분 신입생 모집난에 따른 적자 운영과 재정 결손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문을 닫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한편, 출생아 수 감소와 대학 입학 정원 축소 등의 요인으로 인해 2040년 초에는 50% 이상의 대학이 신입생을 채울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
따라서 정부에서는 대학 구조조정과 지역 인재 육성 등을 통한 지방대학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사립대학의 퇴로를 마련하기 위한 사학구조개선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신입생 모집이 되지 않아서 폐교한 대학교가 꽤 많다고 알고있습니다 문제는 폐교한 대학교 대부분이 지방이라는겁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2024년에 대학생이 모집되지않아 폐교한 대학이 전체 10퍼센트 이상인데 그중 지방대학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게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