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상폐 심사? 예정 되있는게 7월 몇일인가요?
현재 알트코인 김치코인들 횡보중인 걸로 판단되는데요. 상폐심사는 7월 몇일날 하나요?? 상폐해도 국내거래소에서만 사라지는거죠?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인 상장폐지와 관련된 정확한 날짜는 일반적으로 각 거래소에서 공식적으로 발표됩니다. 상장폐지가 결정되면 해당 코인은 주로 국내 거래소에서 제거되지만, 다른 국가의 거래소나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는 여전히 거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장폐지는 해당 코인의 가치와 유동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2024년 7월 19일부터 시행됩니다. 그렇다고 해당을 기준으로 코인 상장유지 심사가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코인의 상장유지심사의 시작은 위 법 시행후 6개월이내 하도록 돼 있고, 각 거래소에서 진행합니다.
결국 이론적으로는 최초 상장유지심사에 대한 결과는 2025년 1월 쯤 예상됩니다. 물론 이 때로 상장폐지 결정이 아니라 거래유의 종목 지정이고 이후 상장폐지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심사한 코인에 대하여 이후 3개월 마다 상장유지심사를 계속하게 돼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직 정확히 상장유지심사에 대한 일정 발표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을 앞두고 진행한다고 나왔었기 때문에 그 부근 시행하지 않을까 예측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상폐가 진행을 한다기 보다 제가 봤을때는 가상자산이용자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코인에 대한 법률이 재정되었고 시행이 7월중순부터 인데 처벌규정을 만든겁니다. 이것을 하나하나 조사를 가능 방식은 아닐거로 예상합니다. 피해가 있거나 금감원등에서 봤을때 이상한 움직인, 주가조작 같은 것이 발견되었을때 가겠지요 한꺼번에 다 조사한다는 것은 어려울거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바로 상폐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7월19일 법이 시행되고 어느정도의 기간동안 상장이 적합한지 심사를 한 후 상폐를 결정합니다. 올 연말정도부터 상폐가 이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7월부터 시작하여 올해 12월까지 상장폐지 심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즉 언제 발표된다고 확정하여 말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12월 이후 내년부터는 매 분기마다 상장폐지 심사를 하고 요건에 충족못하면 폐지수순을 밟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7월19일에 가상자산 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될 예정이지만, 실제 심사 결과까지는 올해 연말 즈음에 나올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인 상폐 심사에 대한 내요입니다.
정확하게 예정된 날짜는 미정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가상자산보호법이 7월 19일 경에 시행된다고 합니다.
그 날짜를 기준으로 후에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7월 19일이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 시행이기 때문에 이 이후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상폐가 된다면 국내 거래소에서만 사라지게 되는 게 맞습니다. 정확한 건 법규 시행 이후 지켜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내달 7월 19일부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등이 시행되고 이에 따라서 이후에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은 다음달 7월 19일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그날 딱 상장폐지 심사가 시작되는건 아닌거 같구요 상장폐지가 되어도 그전에 거래유의기간 주고 진행하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상장폐지되도 물론 국내거래소 한정입니다
안녕하세요. 신기백 경제전문가입니다.
알트코인이나 김치코인(한국에서 주로 거래되는 소규모 암호화폐)들의 상장 폐지 심사 날짜는 거래소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국내 주요 거래소들은 상장된 코인의 심사를 정기적으로 진행하며, 이를 통해 상장 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장 폐지 심사 일정은 거래소의 공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 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된 코인은 해당 거래소에서 더 이상 거래되지 않지만, 다른 해외 거래소에서는 여전히 거래될 수 있습니다. 상장 폐지의 이유는 다양하지만, 주로 거래량 부족, 프로젝트의 불투명성, 법적 문제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상장 폐지 심사 일정은 거래소의 공식 웹사이트나 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고 있는 거래소의 공지를 자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특정 코인의 상장 폐지 여부가 확정되면 해당 거래소에서 충분한 기간을 두고 공지하는 경우가 많으니, 이에 유의하여 투자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국내 거래소들은 상장 폐지 관련 공지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므로,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여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각 거래소의 상장 폐지 공지 링크를 참고하면 유용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융당국이 마련한 모범사례안은 추후 확정돼 7월 19일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에 맞춰 전 거래소에 적용된다.
국내 5대 원화거래소를 비롯해 금융당국에 신고된 29개 가상자산 거래소는 모범사례안에 따라 거래 중인 600개 종목의 상장 유지 여부를 사상 처음으로 전면 심사할 예정이라고 하며, 무더기 상폐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7월 19일부터 시행되며 약 600개 암호화폐가 상장폐지 심사를 받을 예정입니다.
이번 심사는 코인의 신뢰성, 보안성, 법적 준수 여부 등을 평가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코인들은 국내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될 수 있습니다.
상장폐지가 되면 해당 코인들은 국내 거래소에서 거래가 중단되지만 해외 거래소에서는 여전히 거래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