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성분과 유해성이 궁금합니다
요즘은 미세먼지가 심하지 않은것 같아요. 그런데 궁금한게 미세먼지의 주 성분은 무엇이고 인체로 흡입되었을때 유해성 또는 위험성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보다 작고, 2.5마이크로미터보다 큰 입자를 미세먼지라고 부르며 주로 도로변이나 산업단지
등에서 발생합니다.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는 초미세먼지라고 하며 담배 연기나 연료의 연소 시에 생성됩니다.
입자의 성분이 인체의 독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주로 연소 입자인 탄소, 유기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금속
성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코와 기도를 거쳐 기도 깊숙한 폐포에 도달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을수록 폐포를 직접 통과해서 혈액을 통해 전신적인 순환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미세먼지는 급성 노출 시 기도의 자극으로 인한 기침과 호흡 곤란이 발생하며, 천식이 악화되고 부정맥이 발생합니다. 만성 노출 시에는 폐기능이 감소하고 만성 기관지염이 증가하고 사망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심장이나 폐질환자, 아이와 노인, 임산부는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영향이 더 크며, 심지어 건강한 성인이어도 높은
농도에 노출되면 일시적으로 이런 증상들을 경험하게 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미세먼지는 1급 발암물질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미세먼지 성분은 황산,질산,탄소,광물..등으로 이루어 져있으며
미세먼지 입자가 작아 호흡기 및 뇌까지도 침투가 가능합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알려진 연관 질환은 알러지 비염, 심장질환, 폐질환, 결막염, 아토피피부염,
탈모, 뇌졸중, 경동맥협착증, 신경계 교란, 뇌경색 등이 밝혀져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