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는 어떻게 보관해서 수입을 하나요?
석유와 같은 액제, 또는 석탄과 같은 고체는 배를 이용해 옮길 수 있다고 하지만 가스와 같은 기체는 어떻게 수입을 하나요?
배로 옮긴다고 하더라도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효율이 안 좋을 것 같아서요.
가스류는 어떻게 수입을 하는 편인가요?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스를 저온에서 액화시킨 후 운송수단에 적재하여 수입합니다.
이와 관련된 게시글 링크드리니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incheonport.tistory.com/935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천연가스의 경우, 채취된 가스는 -162℃라는 극한의 저온으로 냉각되어 액화천연가스(LNG)로 변환되며, LNG는 석유나 석탄과 마찬가지로 선박에 실어 운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LPG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도 액화될 수 있어 저온 운송선을 이용하여 수입됩니다.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천연가스 등은 전용운반선이 있습니다.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이라고 하여 액화천연가스(LNG)를 생산기지에서 인수기지까지 운반하는 선박으로 LNG선 또는 LNG CARRIER라고 부릅니다.
가스 상태로 운반하는 것이 아닌 냉각액화한 상태로 전용선으로 운반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가스의 경우에는 LNG 선으로 운반되며 보통은 액화상태로 운송됩니다. 이에 특화된 가스 운반선은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 LNG) 혹은 액화석유가스(Liquefied Petroleum Gas = LPG)를 운반하도록 설계된 선박이며, 가스는 기체상태 보다 액화된 상태에서 훨씬 적은 용적을 차지하므로 액체상태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화물창을 고압과 저온 상태로 유지하여 기화를 방지하기위해 화물창은 고압과 저온에서 오는 응력을 견딜 수 있는 특별한 강철로 구성되어야 하고 저온을 유지하기 위한 냉동장치와 보온설비를 갖추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우리나라는 대부분 LNG선 등 선박을 통해 물품을 수입하게 됩니다.
인천항만공사에서는 가스에 대한 수입과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
LNG선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제 LNG가 어떻게 운송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LNG는 가스전에서 채취를 하는데요, 이 가스전에서 천연가스를 채취한 뒤에 액화플랜트에서 기체상태의 천연가스를 액체로 바꿉니다. 그렇게 LNG가 되고나면 LNG선이 선적하러 올 때까지 저장탱크에 저장이 됩니다. 후에 LNG선이 LNG를 수입 해오면 다시 하역지에 있는 탱크에 저장이 된 뒤에 비로소 소비지까지 도달하게 되는 것이죠. 소비지에 도달할 때의 LNG는 기체 상태인데요, 해수식 기화기 또는 연소식 기화기를 통해 LNG를 기화시킨 후 소비지로 보낸답니다. 아래 도식화 한 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incheonport.tistory.com/935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천연가스를 액화하여 액화천연가스(LNG)로 가공하고, 이를 특수 설비에 저장한 후 저온가스저장탱크가 설치된 특수 선박 또는 차량에 옮겨 담아 수출 대상국으로 운반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액화천연가스(LNG)는 천연가스를 저온과 고압에서 액체로 변환한 형태로, 이는 수송과 저장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LNG는 특수 설비가 갖춰진 LNG선 또는 차량에 저장되어, 이후 수출 대상국으로 운반됩니다. LNG선의 경우, 선체에는 내부 온도를 섭씨 영하 162도로 유지할 수 있는 특수 용기와 LNG 저장 설비가 갖추어져 있습니다.
운반이 완료된 LNG는 수출 대상국에 도착하여, 재가스화 설비를 통해 다시 천연가스의 형태로 되돌리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LNG는 저장된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환되어, 가스관을 통해 최종 소비처로 공급됩니다. 이 과정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에너지 공급을 위한 중요한 기술적 프로세스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가스류, 특히 천연가스의 수입은 주로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첫 번째 방식은 LNG (액화천연가스) 형태로 수입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천연가스를 극저온(-162°C)에서 액화시켜 부피를 약 1/600로 줄인 후, 특수 설계된 LNG 운반선을 이용해 해상으로 운송하며, 도착지에서 다시 기화시켜 사용됩니다. 이 과정은 대량 운송이 가능하고, 부피 감소로 인해 운송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두 번째 방식은 파이프라인을 통한 수입입니다. 인접 국가 간에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직접 가스를 수입할 수 있으며, 이는 러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등으로 예를 들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지리적 특성상 주로 LNG 형태로 천연가스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LNG 수입 과정은 가스전에서 채굴된 천연가스를 액화 플랜트에서 LNG로 변환하고, 특수 설계된 LNG 운반선을 이용하여 해상 운송한 후 도착지의 LNG 터미널에서 하역하여 저장 탱크에 보관하며, 필요에 따라 기화시켜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급하는 방식을 따릅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스류의 효율적인 수입과 운송이 가능해지며, 특히 LNG 형태로의 수입은 부피 감소로 인해 먼 거리에서도 경제적으로 가스를 수입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