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세기 들어서면서 바이러스성 질환이 증가했을까요
20세기이전까지는 인류에게 있어서 세균성 질환이 많았는데요
그런데 20세기 들어서면서 왜 바이러스성 질환이 증가를 하게 된걸까요
20세기 들어 바이러스성 질환이 증가한 주된 이유는 인구 밀집, 교통 발달, 의료 기술 향상 때문입니다.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사람 간 접촉이 많아지고 전 세계 이동이 쉬워지면서 바이러스가 퍼지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고, 백신과 항생제의 발전으로 세균성 질환이 줄어든 반면 상대적으로 바이러스성 질환이 더 부각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습니다. 일단 바이러스는 항생제가 듣지 않고 세계화 및 도시화의 영향이 가장 큽니다. 도시화를 진행하면서 자연을 훼손하면 불활성화 상태이거나 몰랐던 바이러스들이 출현을 하게 되고 인간과 동물의 접촉도 늘어서 그렇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위생과 항생제 때문에 세균성 질환 대비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입니다.
즉, 20세기 이전에는 위생 상태가 좋지 않고, 영양 상태가 불량하며, 의료 기술이 발달하지 못해 세균성 질환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20세기 들어 위생이 나아지고 항생제가 개발되면서 바이러스성 질환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 것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상하수도 시실이 개선되어 깨끗한 물의 공급과 하수 처리 시스템이 구축되며 수인성 세균성 질환인 콜레라, 장티푸스 등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손 씻기, 소독 등 개인 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세균 감염률이 줄었고 식품의 생산, 유통, 보관 과정에서의 위생 관리가 강화되면서 세균성 식중독 발생이 감소했습니다.
게다가 20세기 중반 페니실린을 비롯한 다양한 항생제가 개발되면서 세균성 감염 질환의 치료가 가능해졌고, 이로 인해 세균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과 유병률이 현저히 감소했습니다.
반면 20세기 이전에는 바이러스의 존재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세균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전자현미경의 발명과 분자생물학의 발달로 바이러스의 실체를 확인하고, 유전체를 분석하며, 특이적인 진단법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죠.
이러한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이전까지 원인 불명으로 여겨졌던 많은 질환들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는 표면적으로 바이러스성 질환이 크게 증가한 이유가 되었습니다.
즉, 모르면 통계에 잡히지 않지만, 알게되면 통계로 나타난 착각일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지속적인 바이러스의 변이도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바이러스를 알게되고, 좋아진 위생과 환경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