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1.09

바닷물이 짠 이유는 무엇인가요?

누구나 바닷물이 짜다는 것은 다 알고 있고 바닷물로 소금을 만드는 것도 알고 있지만 바닷물이 이렇게 짠 이유는 어떤 원리로 이렇게 짜게 되는 것인지 그것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칠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이 흘러가면서 암석의 여러 무기물들이 녹아서 바다로 흘러들어 가고, 바다속의 화산이 폭발할때도 무기물이 분출된다고 합니다. 이런 성분들이 지속적으로 바다에 모이기 때문에 바닷물이 짜게 느껴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짠 이유는 바닷물에 염류가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염류는 암석이나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무기물로, 강물이 흐르면서 암석이나 토양에서 녹아들게 됩니다. 강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면 염류가 바닷물에 녹아들게 되고, 그 결과 바닷물이 짠맛을 띠게 됩니다.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염류는 염화나트륨(NaCl)입니다. 염화나트륨은 소금으로 불리며, 바닷물의 염분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그 밖에도 염화마그네슘(MgCI2),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칼슘(CaSO4), 황산칼륨(K2SO4) 등 다양한 염류가 바닷물에 녹아 있습니다.

    바닷물의 염분 함량은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열대 바다의 염분 함량이 높고, 극지방의 바다의 염분 함량이 낮습니다. 이는 열대 지역의 강물이 흐르는 동안 암석이나 토양에서 녹아드는 염류의 양이 많기 때문입니다.

    바닷물의 염분 함량은 바다의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염분 함량이 높은 바다는 염분을 빨리 잃어버리는 생물은 살기 어렵습니다. 반면에 염분 함량이 낮은 바다는 염분을 빨리 잃어버리는 생물이 살기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에는 다양한 무기물들이 녹아 있기 때문에 짠맛을 느끼게 됩니다이.

    무기 물질들을 염류라고 하는데 보통 바닷물 1kg에는 35g의 역류가 녹아 있습니다.

    이 염류 중에서 가장 많은 물질이 염화나트륨인데이 염화나트륨이 바로 소금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1.09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에서 짠맛이 나는 이유는 소금말고도 다양한 무기물들이 녹아 있기 때문으로 이 물질들을 '염류'라고 합니다

    바다별로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바닷물 1㎏ 속에는 35g의 염류가 녹아있고

    바닷물 염분 중 가장 비중이 높은 물질이 바로 염화나트륨입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답변이 도움됐다면 ★좋아요와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이 짠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는 강물이 바다로 유입되면서 염류를 운반하기 때문입니다. 지각의 암석에는 다양한 염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강물이 지표를 흐르면서 이러한 염류를 녹여 바다로 운반합니다.

    두 번째는 해저 화산 활동으로 인해 염류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해저 화산 활동으로 인해 염화나트륨, 황산염, 탄산염 등의 염류가 생성됩니다. 이러한 염류는 해수로 녹아 바닷물의 염분을 증가시킵니다.

    이런 이유로 염분이 높아 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