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듬직한개구리90
듬직한개구리9024.02.27

달의 모양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얼마 전, 정월대보름에 너무나 아름다운 보름달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달의 모양에 대해 붙여진 이름과 특징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추가로 초승달도 그믐달도 아니게 아래 부분이 아주 작게 보이는 달의 이름도 있을까요? 가끔 관찰이 되는데 어떤 식으로 이름 붙여야 할 지 궁금하여 남깁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정월대보름에 아름다운 보름달을 관찰하셨다니 정말 좋은 경험이셨을 것 같습니다. 보름달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하여 태양의 빛을 모두 받아 밝게 보이는 형태입니다. 이 때문에 보름달은 우리에게 가장 밝게 보이는 달이기도 합니다.

    보름달에는 여러 가지 이름이 붙여져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만월'이라는 이름입니다. 이는 달이 한 달의 기간 동안 계속해서 늘어나는 모습을 나타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리고 보름달이 아닌 다른 달의 모양에도 이름이 붙여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승달과 그믐달 사이에 위치한 달은 '상현달'이라는 이름이 붙여질 수 있습니다. 이는 초승달과 그믐달 사이의 달이 상현하는 모습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저희는 항상 과학적인 방식으로 달의 모양을 분류하고 연구하고 있으며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승달 밑에 작은 달은 삭이라고 이름이 있습니다

    모양 따라 이름도 달라져눈썹달이라고 하는 초승달과 그믐달, 반달이라고 하는 상현달과 하현달, 그리고 쟁반같이 둥근 보름달! 보름달을 제외한 나머지 이름들이 달라지는 이유는 어느쪽으로 차오르거나, 사라지고 있느냐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네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1. 신월: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어 보이지 않는 상태

    2. 초승달(초원월): 달이 조금만 떠 있는 모습

    3. 상현달(상현월): 반달 모양

    4. 보름달(보름월): 달이 가장 크게 보이는 만월

    5. 그믐달(그믐월): 반달 모양

    6. 장마달(장마월): 장마철에 보이는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