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최근 3년간 가계 저축이 100조원이상 초과하여 저축된 상태라고 하던데 그 이유가 뭘까요?

오늘 뉴스보도를 보니 코로나가 유행한 이후로 3년동안 우리나라의 가계 저축이 약100조원이상 초과한 상태라고 들었습니다. 어떻게 이렇게 될 수가 있었는지 그 원인이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런 상태가 우리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과저축 증가 원인으로는 팬데믹에 따른 소비 감소와 정부 지원, 지난해 소득 증가 등이 있습니다.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긍정적인 면만 있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금리가 올라감에 따라

      안전자산 등에 자산이 몰려 저축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금리인상효과가 있었고 물가상승을 이에 줄일 수 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로나 이후 변동성이 심해 주식이나 부동산보다 안전자산인 금 예적금으로 몰릿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상존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앞으로 불황이 심해질 경우 완충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지만

      자칫하여 이를 활용하여 대출을 더 불리거나 자산가치를 높이는 투기로 이어지게 된다면

      경제적으로 큰 불안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