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환율이 1450까지 뛰었습니다. 하..... 정말 1500원 까지 갈 수도 있어보이는 데요...
오늘 환율이 1450까지 뛰었습니다. 하..... 정말 1500원 까지 갈 수도 있어보이는 데요...
실재로 1500까지 환율이 올라간다면.. 우리나라 경제 크게 휘청이나요??
가장 먼저 국민들이 체감하게 될 현상은 어떤 걸까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금도 물가가 많이 오르고 있는 편이라고 보여지는데요 아직까지는 크게 체감을 하지 못하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것은 빈부격차에 따른 것이겠지요 하지만 저소득층들 비정규직 노인들은 기본적으로 수입품목 그리고 재료를 수입해 오는 전기세 같은 것들에 대하여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빨리 어떻게 해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저 같은 사람은 더욱더 어려워질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름 한방울 안나는 우리나라에서 환율이 올라가면 수입물가 상승으로 서민들이 실생활이 더 어려워진다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올해보다 내년이 더 살기 어려울 분위기네요 새로운 대통령은 경제 살리기를 1순위로 최대한 역량을 발휘해주길 바랍니다 그럼 올해 마무리 잘 하시고 새해엔 좋은 일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1,500원까지 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유는 크게 보면 미국의 경우 금리인하 스탠스를 보다 늦추는 방향으로 진행하였고
그에 반면 한국은 더 이상 금리격차가 벌어지면 안되는데 문제가 경기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렇게 되면 결국 미국의 달러가치는 그대로인 반면 한국의 원화가치는 내려가게 되면서 점차 환율이 오르게 될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문제가 수입물가는 올라 물가가 계속해서 오르면서 경기는 침체되어 자영업자들이며 현재 부동산PF가 크게 터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IMF급이 오지 않기를 바라지만 현재 외환보유액이 급속하게 줄어드는 것을 보면 그 급정도의 파급력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일단 환율은 절대적 수치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급변하는 것인가도 중요합니다.
급변하면 기업들이 불안정성으로 신규투자나 사업이 중단될수있어서 더욱 안좋습니다.
다만 변동성과 상관없이 환율이 올라가면 일반 국민입장에서는
수입물품 가격상승으로 물가가 올라가고 실질소득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