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글라스루프에 적용된 기술은 무엇인가요?
요즘 나오는 신차 중에 파노라마 루프인데 유리로 되어있고 버튼만 누르면 불툼명했던게 투명해지는 파노라마글라스루프라는게 설치되어 있던데 어떤 기술이 적용된건가요?? 불투명한 유리를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이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파노라마 글라스 루프는 투명한 유리로 되어있어 차량 내부에서 탁 트인 시야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글라스 루프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유리 패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패널 사이에는 압축 공기가 채워져 있습니다.
버튼을 눌러 글라스 루프를 투명하게 만드는 원리는 유리 패널 사이의 압축 공기를 제거하여 두 유리 패널을 붙여서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을 "전자 제어식 액정분자 구성체"라고 부르며, 액정분자가 전기 신호를 받아 유리 패널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여 글라스 루프를 투명하게 만듭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유리사이에 특수 입자가 들어 있어 평상시는 입자가 불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불투명해 보이다가
전압을 주입시 입자들이 정렬되어 빛이 실내로 들어오는 타입이 아닌가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불투명한 유리를 투명하게 만드는 기술이 있습니다. 이 기술을 전기변색 유리라고 합니다. 전기변색 유리는 전기가 통하면 투명해지고, 전기가 통하지 않으면 불투명해집니다. 전기변색 유리는 액정(LCD)과 같은 원리로 작동합니다. 액정은 전기가 통하면 배열이 바뀌면서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합니다. 전기변색 유리는 자동차의 파노라마 루프에 사용되며, 버튼을 누르면 투명하게 변하여 하늘을 볼 수 있습니다.
전기 조절 가능한 투과유리는 두 개의 유리 사이에 특수한 투명한 또는 불투명한 필름이 포함되어 있으며, 전기 신호를 통해 필름의 투과도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필름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된 기반 재료 위에 액정 또는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기가 흐르면 입자가 정렬되거나 액정의 상태가 변경되어 투과도가 변화합니다.
파노라마 글라스 루프에서는 차량 내부에서 버튼을 누르면 전기가 흐르면서 필름이 투명해지도록 조절됩니다. 이로써 유리가 투명해져 차량 내부로 자연광이 들어오거나 경치를 감상할 수 있게 됩니다. 반대로 버튼을 눌러 전기를 차단하면 필름이 불투명해지며, 외부의 시야를 차단하여 개인 정보 보호나 차량 내부의 개인적인 공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