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8

삼국, 고려, 조선 근현대를 통틀어서 최초의 도서관은 어디인가요?

요즘은 도서관이 문화생활을 위한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삼국, 고려, 조선

근현대를 통틀어서 우리나라 최초이 도서관은 어디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도서관이 어디인지 궁금하군요.

    고구려에서는 372년(소수림왕 2)에 세워진 태학(太學)이 최초의 국립교육기관이요, 일종의 귀족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서민층의 교육기관으로는 경당( 堂)이 있었다. 이 경당이라 불리는 사숙(私塾)에는 미혼남자들이 모여 독서와 습사(習射)에 힘썼다. 고구려에는 유학경전인 오경을 비롯하여 역사서인 ≪사기 史記≫·≪한서≫·≪후한서≫·≪삼국지≫와 어학서인 ≪자림 字林≫·≪자통 字統≫·≪옥편 玉篇≫ 등 여러 가지 서책이 유포되고 있었는데, 태학이나 경당에도 이러한 서적들이 수장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경당은 독서하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개인이 구하기 어려운 서적을 한 곳에 모아놓고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한 일종의 도서관으로,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는 우리 나라 최초의 도서관이라 할 수 있다. 신라에서는 855년(문성왕 17) 왕실문고로서 진각성(珍閣省)을 설립하고, 경적(經籍)·축소(祝疏)·재초제향(齋醮祭享)의 문서를 소장하고 편서·교서·간행·시강·제고(制誥)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도서관 [library, 圖書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05.2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 도서관은 고구려의 경당으로 사설학숙기관이었던 경당은 서적을 수집해 여러 사람들이 이용할수있도록 하는 도서관 역할을 했습니다.